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곳에선 ‘똥’도 ‘돈’이 된다
2016.05.26
메탄가스는 난방 연료로 활용되고, 이산화탄소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가 되는 녹조류
배양
에 사용된다. 사이언스 월든 파빌리온의 윤동주 화장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일반인들이 이 화장실에서 대변을 보면 가상화폐를 받을 수 있다. 대변은 기계를 통해 가루로 만들어지고, 그 가루 ... ...
식물로 백신, 만들지 말입니다
2016.05.20
없애거나 약화시켜 만든다. 이를 몸에 주사하면 면역력이 생기는 방식이다. 문제는
배양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후처리까지 거쳐야 해서 대량생산에 6개월 정도가 걸린다는 점이다. 담배는 성장이 빠르고 수확되는 잎도 많아 한 달 정도면 백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전염병이 유행할 때 ... ...
인간 배아 13일간 체외
배양
첫 성공
2016.05.09
말했다. 한편 영국 정부는 현재 줄기세포 실험, 유전자 교정 등 배아의 체외
배양
을 최대 14일까지 허용하고 있다. 14일은 인간의 장배형성이 시작되는 시기이자 배아가 일란성 쌍둥이로 분열될 수 있는 최종 시점이기도 하다. 실제로 연구진은 13일 이후까지도 배아가 생존할 수 있음에도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연구진은 구멍이 뚫린 나노 표면 위에 줄기세포를
배양
해 췌장세포로 분화시키는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세한 구멍이 뚫린 표면을 이용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베타세포’를 잘 분화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 ...
[과학동아 4월호] 명견(名犬) 복제 10년, 현장에 가보니
과학동아
l
2016.04.01
찔러 넣고 전기 충격을 가해 인위적으로 융합시킨다. 이렇게 만든 수정란을 4시간
배양
한 뒤 대리모에게 착상시켜야 한다. 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원이 핵을 없앤 난자에 복제할 개의 체세포를 주입하고 있다 - 완주=우아영 기자 wooyoo@donga.com 제공 보통 대리모 한 마리에 수정란 10개를 ... ...
제주 해조류 ‘감태’에서 아토피 치료법 찾았다
2016.03.30
진행되거나 악화된다. 연구팀은 감태에서 추출한 ‘다이에콜’이 실험실에서
배양
한 피부각질세포에서 TSLP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먼저 확인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킨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다이에콜이 TSLP의 생성을 막아 병의 진행을 막는 효과가 확인됐다. 이 교수는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빛으로 활성 억제가 가능한 셈이다. 연구팀은 이 칩에 쥐의 해마에서 추출한 신경세포를
배양
해 그 효과를 확인했다. 남 교수는 “기존의 전기적 신경 시스템을 활용하는 동시에 광열 자극으로 신경세포의 활성을 자유롭게 억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며 “해마세포뿐만 아니라 대뇌피질세포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생명과학 연구실에서 많이 하는 세포
배양
이나 세포반응 분석을 초소형 바이오칩에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 교수는 “제어공학 관점에서 미세유체를 조정해 바이오 연구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며 “랩온어칩 ... ...
[단독]후덥지근한
배양
실에 숨이 턱턱… 사나운 ‘지카 모기’ 그물 뚫고 공격
동아일보
l
2016.03.25
주입한 모기가 아니기 때문에 걱정할 것 없고, 강력한 에어커튼이 설치돼 있어 모기가
배양
실 밖으로 못 나온다”며 안심시켰다. 사육실 밖에 거실처럼 마련된 공동 연구 공간에 들어서니 쥐의 분비물 냄새가 코를 찔렀다. 이곳 모기들의 주식은 설탕물이지만 번식하기 위해선 동물의 피가 ... ...
칩 위에 사람 장기 키우는 ‘생체 칩’ 뜬다
2016.03.18
장기 칩은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 교수는 “미세혈관을 피부세포와 함께 칩에
배양
하는 ‘스킨온어칩’을 개발 중”이라며 “기존에 인공 피부 조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알레르기 반응 등 피부 건강에 중요한 시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