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12년만에 100회 발사 성공한…로켓 기술 혁신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약 670kg의 탑재체를 실을 수 있었다. 팰컨1은 길이가 21m의 단일 엔진으로 구동됐다.
액체
산소와 등유가 연료다. 팰컨이라는 이름은 머스크가 우주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우주선 ‘밀레니엄 팰컨’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2006년 첫 발사를 시도한 스페이스X는 3번의 발사 실패 후 2008년 9월 29일 ... ...
거미줄 방지제·팔굽혀펴기 보조기구 개발한 '초중고생 발명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중인 실내 운동을 도와주는 운동기구,거미줄을 막기 위해 거미가 싫어하는 향을 지닌
액체
를 바를 수 있는 거미줄 방지스틱, 스쿨존에서 학생들이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도록 도와주는 정지선 차단 장비가 올해 학생들이 제시한 최우수 발명 아이디어로 선정됐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전국 ... ...
코로나19 폐기물 플라스틱으로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인보호장구를 열분해 열 반응기에 1시간 동안 두면 물질이
액체
바이오 연료로 전환된다고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생활이 늘어나며 택배 쓰레기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선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버려지는 ... ...
인도 연구팀 "코로나19 혈장 치료 효과 거의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BMJ) 23일자에 발표했다. 혈장치료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환자의 혈액 중
액체
성분에 포함된 항체를 치료제 대신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우리 몸의 피는 적혈구(42%)와 백혈구(1%), 혈장(57%)으로 구성되며, 다시 혈장은 90%의 물과 7∼8%의 단백질, 2%의 기타 성분으로 이뤄진다. 감염 뒤 약 ... ...
재료硏, 효율 대폭 끌어올린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대량으로 합성해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
액체
전해질은 누수가 심해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광전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연구팀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과 OCR소재를 잘 섞어 필름처럼 만든 뒤 필름화된 고체 전해질을 활용해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을 ... ...
[표지로 읽는 과학]100년 만에 구현한 상온 초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초전도성을 발견했을 때도 영하 270도였다. 극저온을 유지하려면 비싼
액체
헬륨이나
액체
질소로 물질을 냉각해야 하고 그밖에 고압의 조건도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물리학자들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나는 초전도체를 찾아나섰다. 수소를 기반으로 만든 물질이 비교적 높은 ... ...
[과학게시판]대전 ‘찾아가는 과학교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KBSI 지역센터의 프로그램 참여가 이뤄졌다. KBSI 부산센터는 소재 표면분석 연구와 연관된
액체
전지 실험과 태양전지 자동차 만들기 체험을 제공한다. 대구센터는 기능성 소재 분석에 사용되는 광학분광기의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자동 센서 선풍기 만들기 체험을 준비했다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높여온 끝에 이번에 상온 초전도를 현실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초전도체는
액체
질소 등으로 온도를 최소 영하 수십 도 이하로 낮춘 상태에서만 구현이 가능했다. 사진은 초전도체 위에 자석을 띄운 실험으로, 초전도체 특유의 반자성 효과(마이스너 효과)로 자석이 공중에 떠 있다. ... ...
[CAETS 2020]"재난 상황에서도 끊기지 않는 전기 '마이크로그리드'로 달성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운영하고 있다. 두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시설과
액체
의 화학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저장하는 흐름배터리 등을 연결해 전기 생산과 저장 등을 통합했다. 중앙 제어실에서는 건물의 전력 부하와 태양광 생산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전력을 관리한다. 남과 북의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개미산·이산화탄소만으로 증식하는 대장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있다. 이산화탄소로부터 쉽게 전환해 얻을 수 있는 개미산은 대기 상태에서 안정된
액체
로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다. 이런 이유로 미생물이 섭취하는 데 더 효율이 높아 원하는 화합물을 만드는 좋은 원료가 될 수 있다. 문제는 이산화탄소와 개미산만으로 대장균이 성장할 수 없어 포도당과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