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7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1951~2020년 기후자료와 온실가스 및 에어로졸 강제력에 의한 기후모델 모의결과를 종합해
인간
이 유발한 지구온난화가 겨울철 대기의 대규모 흐름을 증폭시킨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지구온난화는 한 지역의 기후변화가 다른 먼 지역의 기후변화와 연결되는 현상인 ‘원격상관 패턴’ 간 ... ...
스페이스X 캡슐 타고 돌아온 우주인 4명 '임무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수행하며 우주정거장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를 수리하기도 했다. 우주 비행 시간에 따른
인간
의 반응 연구에 참여하고, 우주정거장에서 식량을 재배하는 실험 등 수백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앞바다에 착수한 스페이스X의 드래건 우주선. NASA 제공 빌 넬슨 NASA ... ...
천연물 '달맞이꽃 뿌리·배암차즈기'…항암치료 효능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뿌리에서 분리 정제한 주요 활성 성분인 오에노데인B는 면역관문에 중요한 표적인
인간
PD-L1 단백질과 결합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널리 사용되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결합력만큼 우수한 수준이다. 오에노데인B와 임상 대장암 항암제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종양면역 증가 효능도 ... ...
포유류 추위 감지 단백질 발견…"추위 통증 이해·치료 기대"
연합뉴스
l
2024.03.12
감지 퍼즐의 공백을 메우는 것 외에도
인간
의 건강과 웰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
인간
이 추위에 고통스러운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밝혀내는 데 기여하고 추위 감각이 지나치게 자극돼 통증을 느끼는 환자 치료를 위한 표적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Neuroscience, Shawn Xu ... ...
눈길 끄는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새 효능…HIV 환자 치료 부작용에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노보노디스크 제공. 다국적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생산하는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HIV) 환자들의 체중 증가로 인한 대사 문제를 막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심혈관 질환 예방 치료제로 사용 승인을 받기도 한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있는 개발을 위한 협약 ‘책임감 있는 AI X 바이오디자인’에 서명했다. 단백질 설계란
인간
에게 유용한 단백질 구조를 디자인하고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협약에는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박한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등 한국 연구자들도 참여했다. ... ...
반딧불이처럼 자체발광 식물, 4월부터 미국서 팔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일어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사르키시안 연구원은 "이 생체발광 과정은 효모나
인간
을 포함한 다른 동물 세포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작동해 빛을 낼 수 있다"며 "미학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병을 관찰하고 약물 후보를 선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낚시’로 심하게 손상된 산호초를 복원하기 위해 산호 이식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인간
의 개입 없이는 산호초 생태계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산호초 재건 작업은 복구가 필요한 환경에 모래로 코팅한 강철 구조물을 지속적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중요한 예측 변수였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현대사회에서
인간
에 의한 기후변화로 이미 많은 생물종들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이끈 소페 교수는 "과거로부터 축적된 증거와 예상되는 기후변화 추정치를 고려했을 때 지구의 생물 다양성이 참혹한 미래에 ... ...
불임·난임 임신 기회 커질까…체외수정란 기술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unorb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
배아 연구 권위자로 알려진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보건대 교수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피부세포로 체외수정란을 만드는 기술을 진일보시켰다. 난자가 손상된 여성이나 나이가 든 여성도 아이를 가질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