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뉴스
"
증식
"(으)로 총 951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생제가 면역력 약화시키는 이유 밝혀졌다
2016.05.22
중 하나다. 연구팀은 “항생제가 장내 환경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 감염성 세균이 더 잘
증식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항생제 복용 후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연구결과를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 ... ...
박테리오파지는 숙주에 어떻게 침투하나
2016.05.22
19일자에 발표했다. 유전학자들과 분자생물학자들은 유전물질을 숙주로 옮겨
증식
하는 박테리오파지의 특성이 확인된 뒤 항생 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박테리오파지를 활발히 연구해 왔다. 그러나 그동안 박테리오파지가 어떻게 숙주 세포에 달라붙고 어떻게 유전물질을 ... ...
어버이날 건강식품 선물 1순위, 홍삼 구입할 때 알아야할 꿀팁
2016.05.02
높이고 고지혈증 예방을 돕습니다. 또 폴리아세틸렌도 항암제 부작용 및 암세포
증식
을 억제합니다. 그 외에 열에 강한 특정 단백질 성분은 DNA 손상을 방어하고, 인슐린 유사 물질은 부족한 혈당을 보충해줍니다. ☞ [국내최저가] 농협 홍삼, 한삼인 베스트 모음전! 보러가기 ● 홍삼을 먹으면 몸에 ... ...
진화하는 암세포와 싸워 이기는 방법
2016.04.17
중에서도 면역기작과 싸워 효율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암세포 종류만이 살아남아
증식
한다는 걸 도식화했다. 면역기작에서 살아남은 암세포를 잡기 위해 인간은 항암치료를 한다. 하지만 암세포 중에서는 이마저도 버텨낸 암세포가 생긴다. 적자생존자가 나온다는 뜻이다. 이번 주 ... ...
내 텔로미어 내 손으로 자른다
2016.04.11
스스로 자르는 거지요. 텔로미어는 2009년 노벨의학상을 받게 한 소재기도 합니다. 무한
증식
하는 암세포는 불공평하게도 텔로미어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불로영생이 인류의 꿈이라는데 암세포는 이미 그 꿈을 이룬 셈입니다. 암세포의 비밀은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엘리자베스 블랙번과 하버드대 ... ...
우리 편인줄 알았던 백혈구가 암 전이를 돕는다?
2016.04.10
전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저산소증에 주목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암세포는 무한
증식
하는 만큼 혈관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정상조직에 비해 산소를 공급 받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암세포는 저산소증에 대항하기 위해 HIF 단백질을 내는데, 이 기전을 공략하면 암의 전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 ...
작년엔 메르스(MERS) 올해는 지카 바이러스, 그 다음은?
2016.03.25
장시간 살아 있다. 유전체가 여러 개로 나뉘어 있지 않고 일체형인 경우에도 바이러스의
증식
속도가 매우 빨라 대유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7개 또는 8개로 유전체가 분절돼 있다. 반면 전 세계 인구의 85%가 감염돼 있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일체형 유전체를 ... ...
유전자 473개, 실험실에서 합성한 인공생명체 탄생
2016.03.25
밝혔다. 2003년에는 염기쌍 5386개를 가진 인공 바이러스를 최초로 합성하고
증식
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해 생명체와 비생명체의 경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첫 결실은 2010년에야 나왔다. 벤터 박사팀은 유전자 90 ... ...
암세포가 만든 슈퍼 히어로? ‘데드풀’의 과학
2016.02.19
일으키면 산술적으로 종양의 지름이 약 10cm까지 커진다. 암세포의 이런 브레이크 없는
증식
능력을 멈추는 약물이 항암제다. 하지만 아직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완벽히 구분해 암세포만 공격하는 항암제는 개발되지 않았다. 백 교수는 “영화 주인공처럼 전신을 덮은 암세포가 쉴 새 없이 분열한다면 ... ...
항생제 남용, 인체의 바이러스 방어력 떨어뜨려
2016.02.18
교수팀이 쥐에게 항생제를 투여해 체내 유익한 미생물은 줄이고 해로운 미생물을
증식
시켰다. 그 결과 이 쥐는 물집이나 근육통을 일으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단순포진 바이러스)에 더 잘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흥규 KAIST 교수팀은 공생 미생물 군집의 균형이 깨지면 바이러스 방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