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항
출발
시작
뉴스
"
출범
"(으)로 총 1,240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 신약 임상 지속 여부도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에이콘AI는 메디데이터가 기존 의료 빅데이터 솔루션에서 AI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4월
출범
시킨 자회사다. 20여년간 GE헬스케어와 맥킨지 생명과학, 제약 담당 파트너로 근무한 사스트리 대표는 “현재 신약 개발에 AI를 적용하는 기술은 후보물질을 빠르게 발굴하는 데 활용된다”며 “앞으로는 ... ...
한빛1호기 수동정지사건 민간합동대책위원회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수동정지 사건에 관한 투명한 조사와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도울 민관합동대책위원회가
출범
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1일 한빛1호기 민간합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영광방사능방재센터에서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민간합동대책위원회는 지난 5월 한빛 1호기가 수동정지한 사건과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7] 우주개발의 새로운 글로벌 리더들 한국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마찬가지입니다. 슈나이더 총리는 2018년 말 의회에 참석해 “2016년 이니셔티브
출범
이후 약 20개의 신생 민간 우주기업에서 약 7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다”고 밝혔습니다. 아직은 미약하지만, “2020년까지 400여 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혀 전망이 결코 어둡지만은 않다고 ... ...
나노부터 매크로까지 고려한 디테일로 최고 효율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경쟁할 수 있는 미래 에너지 시스템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단이
출범
할 때부터 태양전지와 연료전지를 동시에 연구하는 방향을 컨셉트로 설정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광에너지 시스템의 태양전지와 분자에너지 시스템의 연료전지가 각각 재료는 다르지만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동일하기 ... ...
"혁신성과 있었다"vs"목표 없고 혼란은 외면"…文정부2년 과학기술 엇갈린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대토론회'에서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문재인 정부가
출범
한 이후 개인 기초연구비를 늘리고 규제 개선을 하는 등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공계 기피 문제와 비정규직 전환 등 제도 개선에 따른 혼란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 ...
미래 전자기기 편의성 더할 '부드러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전망된다. 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연구단이 있다.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으로 2011년
출범
한 나노기반 소프트일렉트로닉스 연구단이다. 조길원 연구단장(포스텍 교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재와 소자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플랫폼을 일궈 머지않은 미래에 활짝 필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산업을 ... ...
핵연료 교체없이 40년 가동… ‘친환경 초소형 원자로’ 개발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잠수함 등 군사용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국제사회에 제기됐지만 우리는 연구단을
출범
하면서 평화적으로 이용하겠다는 선서를 했다”며 가능성을 부인했다. 황 교수 연구팀은 4년 뒤 개념설계가 완료되면 이후 상용화와 인허가를 위한 상세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상용화 시기는 짧게는 7년, ... ...
[의학게시판] 강남세브란스 '시린 이'와 '대동맥' 건강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데이터 모델) 기반 분산형 바이오헬스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및 기관확장' 연구를 위한
출범
식을 2일 헬스케어혁신파크에서 개최하고 본격 사업을 시작했다. 4년간 총 95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는 경우, 2022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 ...
출범
8년 배출 스타트업만 29개…스마트 융합기술로 유니콘 기업의 요람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통해 실제로 창업한 스타트업의 숫자는 현재까지 29개에 이른다. 남윤중 제공 연구단은
출범
부터 창업을 목표로 두고 연구를 진행해왔다. 실제로 연구단을 통해 창업한 스타트업의 숫자는 29개다. 지난해에만 6개의 스타트업이 창업했다. 복합 나노 잉크 및 나노전극재료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 ...
美 과학잡지 “한국 과학계 집안싸움으로 IBS 미래에 먹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당연히 비판적이다”라며 “막스플랑크협회의 전신인 카이저빌헬름협회 역시 1911년
출범
했을 때 비슷한 일을 겪었다”고 말했다. 염한웅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염 단장은 전화 통화에서 “IBS가 본궤도에 올라가야 하는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