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뉴스
"
평소
"(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11.01
초음파를 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안의 전자가 진동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평소
에는 전자가 무작위로 돌아다닌다. 여기에 전압을 걸어주면 척력에 의해 전자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힘이 중첩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기타줄을 튕겼을 때처럼 소리가 나는 것이다. 에드워드 레어드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운동량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반도체나 절연체 속에는 에너지를 받아
평소
보다 에너지가 높아진 ‘들뜬’ 상태의 전자가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가 빠져나간 자리(양공)도 들뜬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전자는 정전기적으로 음(-)의 성질을 갖고 양공은 양(+)의 성질을 갖기에, ... ...
세상에 없던 쥐로 질병 연구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PNAS)’ 7월 23일에 발표했다. 당시 연구팀은 항바이러스 및 면역 관련 단백질이
평소
만들어지는 것을 보고 이 유전자가 없는 마우스를 이용해 연구한 결과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을 막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성과보고회는 사업단이 구축해 운영 중인 각종 마우스 ... ...
[에코리포트]아마존이 활활 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26
소리를 서버에 전송하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어떤 소리인지 구분해내는 원리다.
평소
엔 자연의 소리만 들리지만, 사람이 불법으로 침입해 소리를 내면 이를 파악해 지역 단체에 경보를 보낸다. 환경 단체는 물론 기업들도 아마존을 지키기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8월, 미국의 ... ...
폐경기 여성도 하체근육 키우면 골다공증 위험 낮출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폐경기 여성 등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사람도
평소
하체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아산병원은 고정민 내분비내과 교수와 이승훈 교수팀이 넓적다리 근육이 많아질 경우 골밀도가 높아져 골다공증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백원옥 KAIST 연구기획센터 교수는 ”훌륭한 연구는 좋은 질문에서 출발한다”며 “
평소
학생들이 질문을 던지고 질문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창의적인 연구 문화를 확산하자는 취지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날 최우수 질문자 중 한명에 뽑힌 이어진 씨(문술미래전략대학원 ... ...
자이로센서·위치정보로 휴대전화 정보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풀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위치도 아닐 뿐더러 잠금을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나
평소
휴대전화를 드는 습관에 따른 자이로센서 위치도 다르다. 이런 이상징후를 탐지하고 이를 알려주는 정보보호기술이 2019년도 우수 기술∙제품으로 선정됐다.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웹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 ... ...
청소년 10명중 2명 '소음성난청' 이어폰 과용 심각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주변에 아무 소리가 없는데도 삐 하는 소리가 들린다면 난청을 의심해봐야 한다.
평소
에 이어폰을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직업적으로 큰 소리를 자주 들어야 하는 사람은 '소음성난청'일 가능성이 높다. 소음성난청은 소음으로 인해 달팽이관 내부 청각세포(유모세포)들이 손상돼 청력이 떨어져 ... ...
좌뇌는 오른쪽, 우뇌는 왼쪽 신체 통제한다는 말, 손에는 안통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않은 왼손의 경우 반대편인 우뇌의 대뇌 피질과 좌뇌의 대뇌 피질이 함께 활성화됐다.
평소
잘 쓰지 않는 손을 이용해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면 좌뇌와 우뇌를 함께 작동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복잡한 동작 수행 시 숙련도 차이에 따른 대뇌 피질 활성화 패턴. DGIST 제공. 이번 연구는 인간의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나노바디는 세포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옵토바디는
평소
두 조각으로 나뉘어 있지만 파란 빛을 받으면 합쳐져 활성화된다. IBS 제공 구팀은 옵토바디 기술을 단백질의 기능을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는 데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단백질의 활성과 이동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