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스페셜
"
아래
"(으)로 총 1,217건 검색되었습니다.
8년간 한수원 해킹시도 1366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2016년 415건을 다시 늘었다. 하지만 2017년 104건으로 다지 출고 지난해 62건으로 처음 100건
아래
로 떨어진 뒤 올해 9월까지 27건으로 큰 폭으로 줄었다. 해킹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시도는 사용자 컴퓨터에 피해를 주는 악성코드 공격으로 835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가를 받지 않은 사람이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떨어지고 심지어 죽기도 한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치매에 걸린 사람의 뇌(
아래
)와 걸리지 않은 사람의 뇌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왼쪽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오른쪽은 신경세포 안의 타우 단백질을 측정한 영상이며 붉은색일수록 양이 많은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선이 인트론이다. 마지막 엑손이 지정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보면 돼지(위)와 혹멧돼지(
아래
)에서 세 곳(각각 빨간색과 녹색)이 다르다.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지난 2011년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학술지 ‘바이러스학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금은 행동해야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1
뒤로는 1900년대 국제 탄소배출량과 현재의 배출량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있다. 표지
아래
쪽에 나타낸 1900년대 국제 탄소배출량이 표지 위로 올라가며 점점 늘어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표지 제일 상단에 나타난 현재의 국제 탄소배출량은 표지 상단을 전부 덮을 정도로 1900년대와 비교해 크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최근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만들었다. 단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위)과 도식적 표현(
아래
)으로 거친 알루미늄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자라면서 서로 엉켜있는 모습이다. 이 물질이 밴타블랙보다 더 검은 이유는 아직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ACS 응용 재료 및 계면’ 제공 학술지 ‘ACS 응용 재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알코올)을 마시면 궁상핵의 베타-엔도르핀 뉴런(위)이 활성화돼 궁극적으로 도파민 분비(
아래
)가 늘면서 우리는 쾌감을 느낀다. 중간 단계를 생략해 단순화한 그림이다. 리드칼리지 제공 특정 혈자리에 놔야 효과 대구한의대 양재하 교수팀과 김희영 교수팀을 비롯한 공동연구자들은 쥐를 ... ...
'건강 망치는 뱃살' 여성이 더 위험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네이처 메디신' 9일자에 발표했다. 내장들 사이사이에 끼는 내장 지방은 피부
아래
층에 쌓이는 피하 지방과 달리 건강에 해롭다. 피하지방은 체온을 유지하고 위급할 때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만, 내장 지방은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특히 복부에 찌는 살은 내장 지방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보여주는 도식이다. 왼쪽 큰 원이 MK-D1이고 오른쪽 위가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 오른쪽
아래
가 메탄 생성 고세균이다. ‘bioRxiv’ 제공 공생 파트너는 박테리아와 고세균 MK-D1의 가장 흥미로운 특성 가운데 하나는 혼자서는 증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파트너 미생물이 존재해야 증식할 수 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물이 가득 찬 욕조를 생각해 보면 욕조
아래
쪽의 수압은 위쪽의 수압보다 높을 것이다.
아래
쪽을 누르는 물의 양이 위쪽을 누르는 물의 양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이 압력차이 때문에 물속에 잠긴 물체는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르면 부력의 크기는 유체에 잠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잘 나타내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2016년 네이처지는 “실험실의 불평등: 현미경
아래
의 계급”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과학계 내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극화 현상을 생생하게 다뤘다. 한국사회에서 금수저 흙수저라는 말이 유행하듯 네이처는 표지에 금으로 된 현미경과 철로 된 현미경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