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스페셜
"
최대
"(으)로 총 1,93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도입되는 노바백스 백신, 예방효과는 89% 배송·보관 경쟁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최대
3개월 동안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노바백스는 현재 연간
최대
10억명 분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백신 공장을 전 세계에 세우고 있다. 노바백스는 지난해 1월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5월 후보물질 개발을 마치고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6월에는 미국 정부가 노바백스의 ... ...
당뇨 환자에게 인슐린 정확하게 처방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기보를 학습한 방법으로 여러 데이터를 통해 특정 행동에 대해 보상이 주어질 때 보상을
최대
로 하는 행동을 찾아내는 학습법이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게 주입한 인슐린양에 따른 혈당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낸 데이터를 학습시켜 당뇨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최적의 인슐린양을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곱이다.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전류는 커지지만 전압은 작아지기 때문에 전력을
최대
로 하는 파장만 선택적으로 흡수해야 성능이 좋다. 박 교수는 원하는 성질을 가진 분자를 만들려면 데이터가 많아야 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목표 상실한 해상풍력 5대 강국의 꿈
2021.02.17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정부의 분명한 해명이 필요하다. 세계 ‘최초’와 ‘
최대
’는 이제는 청산해야만 하는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유물이다. 국회가 정해놓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너지법・전기사업법・원자력진흥법을 통째로 무시하고, 정체를 알 수 없는 폴리페서들이 ... ...
[랩큐멘터리]'알아서 척척' 이상징후 찾아내는 스마트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지능형 조립 로봇은 그에 맞게 제품조립 방식을 변경한다. 연구팀은 이미 대학 수준에서
최대
규모의 스마트팩토리 테스트베드를 자체 구축해 관련 핵심기술 개발과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팩토리 내 통신 범위를 넓히는 기술과 로봇 오차 보정기술 등의 연구도 진행했다. ... ...
UAE 화성 ‘인증샷’에 中 ‘인증 동영상’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20시간 뒤 잇따라 화성 궤도에 진입한 중국의 화성 탐사선 ‘톈원(天問) 1호’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중국의 설)를 기념하기 위해 화성 포착 과정을 담은 ‘인증 동영상’을 보냈다. 중국국가우주국(CNSA)은 12일 홈페이지에 톈원 1호의 하단에 달린 카메라가 촬영한 59초 분량의 동영상을 ... ...
"모더나, 백신개발 공공투자 받고서 공평분배 약속 어겨"
연합뉴스
l
2021.02.15
백신을 보급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달 화이자가 코백스에 '이윤을 내지 않는 수준'으로
최대
4천만회분을 공급하기로 계약하는 등 모더나의 경쟁사들은 이미 코백스에 기여하기로 약속했다. 이윤이 나는 선진시장만 우선하는 제약사들의 욕심과 '백신 민족주의'가 결합하면서 빈국들은 백신을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며 “모노셀은 전기화학적으로 불가능하다.
최대
전압이 너무 낮다”고 적었다. “거대한 하나의 배터리 셀로 배터리 팩을 만드는 수준의 혁신은 불가능함을 강조한 셈이다. 실제로 현재 액체 전해질 기반 리튬이온전지 기술로는 하나의 전지로 전기차 모터를 ... ...
변경,또 변경…기본계획 변경만 3차례 중이온가속기 ‘애물단지’ 전락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대한 책임이 필요하고 구축사업의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 국내
최대
규모 대형기초연구시설 ‘라온’ 중이온가속기 ‘라온’은 자연계에서 가장 무거운 원자핵을 가진 우라늄 입자를 무거운 이온 상태로 가속시켜 다른 표적에 충돌시킨다. 이때 2차로 생성되는 입자를 ... ...
인공위성과 AI로 멸종위기종 아프리카코끼리 개체수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시간이 소요된다. 연구진이 고안한 위성 이미지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면 하루에
최대
5000㎢ 범위를 몇 분만에 관측해 딥러닝 분석으로 코끼리 개체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딥러닝 기술이 코끼리를 식별하는 인간의 눈만큼 정확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진은 향후 엄격한 국경 통제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