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엉덩이부터 살짝 때린다. 아기는‘응애응애~’울면서 세상에서 첫 숨을 쉬기
시작
한다. 그 때부터 한 번도 안 멈추고 잘 때도 뛸 때도 숨을 쉰다. 우리가 한 번에 쉬는 숨의 양은 얼마나 될까?한 숨 쉰다? 숨은 한 번에 얼마나 내쉴 수 있을까?대야에 물을 가득 받고 페트병에 물을 가득 채워 거꾸로 ...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지로 나뉜다니 정말 신기하죠? * 한국인의 기원을 설명하는 학설로는 단일한 민족으로
시작
되었다는 단일기원설과, 남방계와 북방계가 섞였다는 남·북방계 혼합설 등이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남·북방계가 섞여 한국인이 되었다는 남·북방계 혼합설이 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난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전 암흑에너지의 반발력이 물질끼리 잡아당기는 중력을 능가해 우주가 가속팽창하기
시작
했다고 추정했다. 문제는 암흑에너지의 정체가 무엇이며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처럼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가이다.천문학자들은 암흑에너지의 밀도에 대한 압력의 비(일명 상태방정식, W)를 계산해 그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늘어난 상태다.또 사람들은 돼지의 장기로 손상된 인체 기관을 대체할 방법을 찾기
시작
했다. 가축 중에서 돼지가 사람과 가장 비슷한 덩치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실제 돼지의 심장, 췌장 등의 장기는 사람의 장기와 크기가 거의 같다.문제는 돼지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할 때 생기는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만든 비유와 상징을 숨겨뒀다. 여러 문화권에서 원은 신성한 도형으로 대접받았다.
시작
도 끝도 없이 영원히 이어지며 미적 균형과 조화를 이뤘기 때문이다.힌두교 문화에서 시바는 탄생과 죽음, 창조와 파괴 같은 우주의 질서와 순환을 주관하는 신이다. 시바는 둥근 틀 안에서 춤을 추며 조화와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10-9m) 수준의 실리콘 소자를 개발해 3년 뒤면 상용화할 예정이다. 35nm급 소자 개발도 이미
시작
했다. 반도체 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이 되면 14nm 크기로 실리콘 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인텔사의 프로세스 기술담당자인 마크 보어는 “2020년이면 10nm급 회로선폭을 만들어낼 수 있을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실제로 골수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로 피부나 연골을 배양하는 기술은 임상시험이
시작
됐다.그러나 주위의 세포들과 복잡하게 얽혀 끊임없이 소통해야하는 신경세포의 경우 좀 더 난해하다. 시험관에서 배아줄기세포로 도파민신경세포를 얻어내는데는 성공했지만 뇌에 이식했을 때 다른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런데 인체 감염이 안된다고 믿었던 H5N1, H7N7, H9N2가 종을 뛰어넘어 사람까지 공격하기
시작
했다. 그중 H5N1은 고병원성으로 닭과 오리를 떼죽음시키며 전 세계에 퍼지고 있다. 조류독감 치료제는 ?조류독감이 발생했을 때 항바이러스제가 필수다. 가장 유명한 약은 다국적 제약회사 로슈에서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만날 확률은 30억 분의 1이다. 결합에 성공하면 난자와 정자가 가진 유전자들의 경쟁이
시작
된다. 염색체는 말 그대로 무작위로 조합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생명이 유산되지 않고 태어날 확률은 3분의 1이다. 그리고 아이의 얼굴은 환경의 영향으로 끊임없이 달라지며 ‘나’를 만든다.부모의 얼굴을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에펠스베르크 전파망원경은 1968년부터 3년에 걸쳐 건설됐으며 1972년부터 우주 관측을
시작
했다. 그동안 천문학자들은 이 망원경으로 우리은하 중심부에서 엄청나게 큰 거품 구조를 발견했고 외부은하에서 은하 구조가 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의 존재를 알아냈다.망원경의 커다란 ... ...
이전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