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호지킨-헉슬리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
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17가지 방정식은 멀게는 기원전, 가까이는 1970년대에 혜성같이 나타나 인류에게 큰 공헌을 했다. 앞으로 또 어떤 ... ...
[과학뉴스]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창문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화학적인 방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제조비가 매우 비쌌다.
연구
팀은 탄성을 가진 투명한 고무에 은나노와이어를 코팅한 뒤 이것을 유리판 양면에 붙였다. 여기에 전기를 흘려주자 은나노와이어가 움직이면서 고무표면을 변형시켰다. 변형된 고무는 빛의 투과를 방해해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알파고의 도움을 받아 더 발전할 전망이다. 벌써 국가대표 바둑팀이 알파고의 수들을
연구
하고 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다만 알파고가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인간에 바로 적용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알파고는 슈퍼컴퓨터 급의 계산 능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지만, 인간은 이런 계산이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사람들에게“그로부터 어떤 변화가 일어났냐고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연구
가 사회에 일으킨 반향이 어땠는지를 묻는 질문에 작가는 딱 잘라 말했다. “저선량 방사성폐기물이 가진 위험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였죠. 안타까운 건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정부와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우주와 인류에 대해 더 큰 시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주 플라스마를 관측하고
연구
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생명체들이 각자의 방식대로 시신을 분해하며 살아가고, 이런 과정을 살아있는 사람들이
연구
한다. 많은 이들이 시체농장 이야기를 단순한 괴담이나 흥밋거리로 취급하지만 시체농장이 미국의 법의인류학 발전에 미친 영향은 크다. 법의인류학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시체농장에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녹록지 않습니다. 실제 심리적인 고립으로 인한 아픔이 물리적인 아픔과 동일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doi: 10.1126/science.1089134). 미국 UCLA 나오미 아이젠버거 교수는 가상의 공 넘기기 게임에서 소외된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는데요. 심리적 고립으로 인해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게 아니라면 말이다. 박진영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청년의사신문’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심리학 일주일’을 썼다. imaum0217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분의 1정도로 짧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김태완 한국 스포츠개발원 스포츠과학실 선임
연구
원은 “칼이 짧아지면 관성모멘트가 줄어들어 제어하기가 쉬워져 몇 번의 연습만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관성모멘트는 물체가 자신의 회전운동을 유지하려는 정도를 나타내는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성능을 높이는
연구
와, 가시광선과 나노물질을 이용하는 새로운 정수처리 기술을
연구
하고 있다. 나노 크기의 산화티타늄(TiO2)에 빛을 쬐면 물을 분리하는 광촉매로 작용해 수산화 라디칼을 만든다. 이 때 산화티타늄이 자외선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을 첨가해 가시광선에서도 광효율을 ... ...
이전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