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뉴스
"
전문가
"(으)로 총 9,21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줄기세포 스캔들 그 후 10년
2014.09.19
태아가 아닌 성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문가
들은 태아의 세포 대신 성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한 만큼 한 단계 더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했다. 세포치료제를 만들 때 환자 자신의 피부세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 ...
떨어지고, 사장되고…못 쓰는 아이디어 살려드립니다
2014.09.19
이 아이디어를 직접 육성하기로 결정했다. 아이디어를 포기할 처지였던 권 씨는 앞으로
전문가
의 지도를 받으며 추가로 연구개발을 하고, 진행 상황에 따라 대기업이나 벤처캐피털의 투자 유치에 관한 도움도 받게 된다. 창조경제타운은 이런 도움을 줄 멘토 3500여 명을 확보하고 있다. 일반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적용하지 않는다면 최종 목적지인 장에 도착할 확률이 5%도 채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문가
들은 한식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토종 유산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 한 연구진은 전북 지역 장수마을 8곳에서 80세 이상 노인 105명의 장 속을 조사해 토종 유산균 101개를 찾아냈습니다.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생쥐에 줄기세포로 만든 뇌하수체를 이식하자 증상이 많이 개선됐다고 한다. 세포분화
전문가
들 사이에 ‘손재주가 있는(green-fingered talent)’ 실험가로 불리는 사사이의 성공비결은 뜻밖에도 ‘비움의 철학’을 실험에 적용한 결과다. 즉 사사이 박사는 배아줄기세포가 너무나 민감하기 때문에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刊) 초등학교 때부터 새를 관찰해 온 고등학생 조류
전문가
박진석 군과 생태사진
전문가
인 장성래 작가가 함께 작업한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기념물 204호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팔색조는 발견하기 쉽지 않은 새다. 저자들은 남해지역 곳곳에서 팔색조 둥지를 찾아 어미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지정하고,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질병과 이를 퇴치하기 위한 노력을 여러 의료계
전문가
의 의견으로 정리했다. 엘리자베스 할로란 미국 허치슨암연구센터 연구원은 “감염 병을 일으키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은 종이 다양한데다, 진화를 하니 장기적으로 연구해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고 ... ...
KISTI 신임 원장에 한선화 박사 선임
2014.09.12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단장, KISTI 지식정보센터장을 거친 정보관리 분야
전문가
로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전문위원과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KISTI는 과학기술 분야 정보수집 및 분석 전문 연구기관으로 슈퍼컴퓨터를 운영하며 대학 및 국책연구기관, 기업의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이해를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해 그동안 교과교육
전문가
및 학교 현장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여 서로의 생각을 협의하고 조율해 왔다. 학습경험의 양보다 질을 개선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일깨우는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학생과 학부모와 학교 선생님들의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배터리의 전극만을 개발한 것으로 상용화 과정을 추가로 연구해야 한다. 무인자동차
전문가
인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플로우셀 배터리 등 첨단기술이 전기차 상용화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면서 “전기차가 대중화 되려면 첨단기술을 발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정비 ... ...
명절만 지나면 왜 이리 아픈 데가 많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9.10
발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생활리듬 회복이 관건 일단
전문가
들은 명절 증후군 극복을 위해서는 ‘생활리듬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 위해서는 당분간 야근과 밤 늦게까지 이어지는 술자리 등을 피하고 기상시간을 철저히 지킬 ... ...
이전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