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7
황도 상에 거의 등간격으로 벌어져 빛나고 있어서 (그림1)과 같은 '천체의 파노라마'가
가능
했던 것이었다. 이 상황은 (그림2)와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지구는 하루(24시간)에 1회(360°) 자전하므로 1°의 각거리는 24시간÷360=1/15시간=4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매일 약 13°씩 동진하는 달은 다음날 약 4분×1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
과학동아
l
199107
플러스(Memory-X+, 가격 4만8천원)를 판매하고 있으며 피아노 연습과 함께 손쉬운 작곡도
가능
한 SKC의 피아노(가격 5천원)도 있다. 특정과목에 치중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알아보았다. 대부분이 개발 및 판매처나 유명 유통업체 등에서 구입할 수 있는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07
생활하며 발생하는 소리라고 할 수 있다. 또 주로 소득이 많은 층에서 소음을 발생할
가능
성이 많다.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녀 교육에 있어서 전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관심이 많다. 최근에는 8학군 문제로 연구도 많이 했지만 소음공해와 교육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07
소음을 줄이고 있다.소음감소는 기존 항공기의 비행항로를 변경시켜서도 어느 정도
가능
하다. 특히 이륙 시 소음이 심한 지역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그림). 이 경우 경로 변경에 의한 연료 소비 증가 등이 수반된다. 기체 내에서의 소음은 기체 구조형태 또는 재료의 변경으로 소음전달을 방지할 수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07
일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이 행사가 울릉도가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생태계를 파괴할
가능
성이 높다는 지적이 조류학자들 사이에 제기되고 있다.울릉도는 내륙과 오래전에 떨어진 섬지방으로 내륙지방과는 달리 뱀과 같은 파충류가 없고 길짐승이 별로 없는 특이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07
화학진화가설은 상반된다. 물론 종(species)내의 변이는 사실이지만 대진화는 불
가능
하며 화석자료도 진화모델보다는 각 종류대로 창조됐다는 창조모델을 증거하고 있다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07
1980년대 후반기부터 급격하게 발전한 독일의 컴퓨터 분야는 기계 분야 발전에도 많은
가능
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 속도의 증가로 날로 각광을 받고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수리적 계산방법은 지금 기계과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공과대학에서 연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07
어떻게 반응한다는 가정하에서만 설명되고있어 쿼크의 존재를 부정한다함은 거의 불
가능
한일이 되어버렸다.그렇지만 쿼크가 존재한다는 가정이 얼마나 타당한 것으로 인정되든간에 물리학자들은 정말 그 하나만이라도 찾고싶어 한다.Two physicists from Norway, T. Overgard and E. Ostgaard of the University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06
Take-off and Landing)은 길이가 콩코드와 비슷한 62m이며 충중량은 2백50t이다. 수평 이착륙이
가능
한 무인 비행체로서 저고도 지구궤도에 7~10t의 화물을 종래비용의 3분의 1로 진입시킬 수 있다.HOTOL의 추진기관은 공기흡입식 엔진과 로켓엔진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복합엔진이다. 추진제로는 액체수소가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06
연구 개발사업이 여러 건 있었다.최대의 실수 일본통산성은 70년대 초 원거리 조종이
가능
한 해저석유채굴장치 개발에 3천6백만달러의 연구비를 투자했으나 5년간의 이 연구개발사업은 마침내 실패로 끝났다. 그 이유는 제작된 장치가 재래식의 해상석유채굴장치보다 다루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 ...
이전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