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뉴스
"
게
"(으)로 총 9,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5.01.13
있는 안전한 방법입니다. 물론 정말로 몸의 내부를 덥히고 싶다면 운동을 해서 땀을 내는
게
가장 좋지만, 가끔 뜨뜻한 곳에서 몸을 지지는 것도 겨울을 나는 즐거움 아니겠습니까.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3-2014년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 pixabay 제공 최근 스마트워치 같은 웨어러블 기기(입는 컴퓨터) 출시가 활발한 가운데
게
나 새우껍질에 함유된 ‘키토산’을 이용한 새로운 반도체 제조 기술이 개발됐다. 이장식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키토산을 이용해 USB 메모리스틱이나 플래시메모리에 들어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를 ... ...
게
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노(老)의 단계에 들어간 필자로서는
게
놈 속에 잠자는 개가 있다는 사실을 알
게
된
게
지적인 만족은 얻었을지언정 영 반갑지 않지만 한마디 인사는 해야겠다. “얘들아, 나 신경 쓰지 말고 좀 더 자라….” ... ...
[이
게
궁금해요]천식 주범은 집먼지진드기…기관지확장제 흡입하면 위기 넘겨
동아일보
l
2015.01.12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으니 응급 약제를 사용하고 바로 응급실로 가는
게
좋습니다. 원인 물질은 대표적으로 집먼지진드기가 있으며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 축농증(부비동염) 등이 있으면 천식이 잘 조절되지 않을 수 있어 함께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전국 뒤 흔든 구제역은 ‘변종’, 백신 효과 없나
2015.01.11
3%가량 차이가 난다. 국내에 있던 바이러스가 변형을 일으킨 것인지, 해외에서 새롭
게
유입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유전자 검사에서 보통 바이러스 구조가 99% 정도 유사성을 띠면 같은 것으로 본다. 명확한 근거는 의성 구제역 바이러스와 99% 이상 일치하는 해외 바이러스를 찾아야만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교수는 “뉴로마커는 특정 현상과 뇌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지 인과관계를 밝힌
게
아니다”면서 “뉴로마커가 오용될 경우 초등학생의 뇌 영상을 기준으로 문·이과를 나누고 우열반을 나누는 등 불완전한 미래의 정보로 성급한 결정을 내리는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미래가 올 수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
2015.01.09
341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메드믹스가 피부 상처를 빠르
게
아물
게
하는 LED 광 치료기를 개발해 201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LED 광 치료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았다. LED 출력이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LED 칩 하나가 400nm 영역에서는 1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눈동자를 많이 열 필요가 없이 눈 뒷부분을 2mm 정도만 열어도 이식이 가능하다. 이렇
게
이식 한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다리와 무선으로 연결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시신경에 정보를 전달한다. 아직 임상실험은 시작하지 않았지만 토끼 등을 통한 동물실험에는 이미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 ...
[광화문에서/김상연]아인슈타인의 실수
동아일보
l
2015.01.06
자신을 반성하고 친구에
게
도움을 요청했고, ‘우주상수’라는 과학적 실수를 쿨하
게
인정했던 사람이다. 그토록 싫어했던 양자역학과 자신의 상대성이론을 화해시키려고 말년을 보내기도 했다. 아인슈타인은 비록 고집이 셌지만 필요하다면 남의 말을 듣고 남과 같이 일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떠나기 어렵다고 한다. 문득 수년 전 KAIST 수학과의 한 교수가 당시 기자였던 필자에
게
보낸 e메일이 생각났다. 끈이론의 허구성을 주장한 글이었는데 당시 필자는 ‘수학자분이 왜 이런 글을…’이라고 생각하며 모르는 체했다. 그때 ‘초끈이론의 진실’을 알고 있었다면 좋은 기획거리가 됐을 ... ...
이전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