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으)로 총 7,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파악한 결과 1255년 대지진 이 발생한 뒤 연결된 단층에서 89년 뒤 또다시 대지진 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큰 지진이 발생한 지 역에는 100년 뒤에 또 다른 대지진이 발생한다는 사 실을 알게 된 셈이다. 연구팀은 같은 원리로 1934년 대 지진이 발생한 카트만두 단층 인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고래, 비결이 뭐니과학동아 l201506
- 코끼리와 대왕고래는 둘 다 거대한 몸집을 자랑하지만 음식을 먹는 모습은 사뭇 다르다. 코끼리는 풀을 입에 넣고 야금야금 씹는 반면 대왕고래는 한 번에 거대한 물고기 떼를 ‘호로록 ... 길이의 2배 정도까지 늘어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5월 4일자에 실렸다. ...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과학동아 l201506
- 랜섬웨어는 몸값을 의미하는 랜섬(ransom)과 제품이라는 뜻의 웨어(ware)가 합쳐진 말이다. 사용자의 문서를 인질 삼아 몸값을 요구하는 컴퓨터 인질범인 셈이다. 이들은 한 컴퓨터 당 우 ... 사용합니다. 비트코인을 이용한 거래는 계좌추적이 어려워 범인을 검거하기가 더 어렵다고 하네요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과학동아 l201506
- 2015년 6월 1일, 소녀의 일기 :인턴을 한 지 벌써 2주가 됐다. 새로운 경험에 한 뼘 자란 듯한 느낌이다. 특히 최근엔 새 변화가 생겼 다. 며칠 전 마주친 그는 " ... 일기장에서조차 모른 척 할 뿐. 침대에 엎드려 이 일기를 쓰는 동안에만 이불 발차기를 다섯 번이나 했다. 나 이제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06
- 홍릉, 광릉, 선릉, 정릉, 융릉, 건릉, …. 뭔지 아시겠나요? 수목원 이름이라고 답하는 분 도 계시고 지명이라고 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정답은 조선의 왕릉 이름입니다. 서울은 물론 ... 진가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조선 왕릉 종합학술조사로 그 진가가 널리 알려질 수 있길 기대합니다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06
- 효과를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 예요. 반대로 감칠맛은 짠맛을 더 잘 느끼게 합니다. 즉 감칠맛을 이용하 면 소금의 사용을 줄일 수 있지요. 또 음식에 신맛을 더해주면 맛을 부드 럽게 할 수 있고요, 신맛이 강할 때는 소금 을 조금 치면 부드럽게 돼요 ... ...
- 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506
- 앞으로 6개월. ‘오큘러스 리프트’ 소비자 버전이 출시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이다. 본격적인 가상현실 세계가 열리는 역사적인 순간도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페이스북은 작 년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06
- 타 본 사람만이 얻을 수 있는 변화는?A. 2차원에 묶여 있던 사람들이 3차원을 느끼게 됐다. 비싼 돈 주고 항공기를 사지 않아도, 오랜 기간 훈련받지 않아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동의 자유가 생긴 거다. 과거 자전거라는 새로운 이동수단이 등장해 여성의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06
- 유전자 조작이 처음 시작된 것은 1970년대다. 1970년 DNA의 특정 서열을 인지해 자르는 '제한효소'가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DNA를 자르고 붙이고 삽입하는 유전자 조작 기술이 탄생했다. 그러나 ... 많지 않다. 크리스퍼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기 위 해 우리도 논의를 시작해야 될 시점이다. ...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과학동아 l201506
- 여러분은 스스로를 더 좋은 기자로 만들 '통찰력'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번역 김은성 2015세계과학기자대회 조직위원회 총괄위원장Korea is the last divided country on our planet. You might think this decades-old geopolitical tragedy is irrele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