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본보기
모델
표본
자모
원형
틀거
d라이브러리
"
모형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5. UFO와 인간 어떤 관계일까
과학동아
l
199612
전시할 예정이다.행사내용을 살펴보면 그동안 세계 각국에서 목격된 UFO 사진과 각종 UFO
모형
을 전시하고 지난 1947년 미국 로스웰시에 떨어졌던 UFO 잔해를 전시한다. 또한 국제적인 UFO 전문가를 초청해 UFO에 관한 진위 여부를 가린다.UFO를 목격한 바 있는 캘리포니아이벤트그룹의 김대호이사는 이번 ... ...
꼬마자동차 소저너
과학동아
l
199611
이것이 풍동)를 가지고 하는 실험 풍동실험은 실물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하는 것에 비해
모형
을 계통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저렴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쉽고 여러 경우로 실험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닌다냉동사이클에서 작용하는 유체(流体)로서, 저온의 물체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의 물체에 ... ...
2. 전자기력이용 지구 중력 탈출한다
과학동아
l
199609
영구자석을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그 바깥쪽에 다시 같은 방식으로 해서 3중의 자석
모형
을 만들었다. 이때 가운데 원기둥을 전기 모터로 회전시키면 주변의 원기둥 자석과 원통 자석도 함께 회전하는데, 가장 바깥쪽에는 발생한 전기를 모으는 장치가 있다.스위치를 넣자 모터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1 ... ...
3. 자유로운 공간이동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09
1988년 물체 성분을 변환시키려는 실험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그는 두개의 피라미드
모형
밑판을 마주 붙여 다이아몬드형으로 만든 뒤 그 안에 원통형 영구자석을 넣어 회전시키고 이곳에 고압방전을 걸어줌으로써 물체의 성질을 변환시키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이때 뜻하지 않게 물체가 다른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09
것이 분명하다. 1979년 미국의 넬슨박사 부부는 키를리안 사진기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모형
피라미드를 촬영했다. 키를리안 사진기는 주로 전기가 통하는 도체나 생체의 에너지장을 측정하는 장치다. 그들은 현상된 사진에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피라미드의 위 꼭지점에서 마치 DNA의 구조와 ... ...
2. 물고기와 속도
과학동아
l
199609
이미 우리 손이 잉크로 물들어 있었다.물고기
모형
주위에 뭔가 변화를 발견하자 그것이
모형
으로부터 생긴 와류인지 아닌지를 토론하다가 와류라고 결론지었다.보편적인 이론을 다시 처음부터 실험으로 증명해내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그러나 쉽지 않았던 실험이기에 우리에게 남은 것은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08
아래 지층에 남아 있었기 때문에 발자국이 흐릿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또한
모형
실험을 통해 용각룡의 몸무게는 뒷발보다 앞발에 1.5-3배의 압력이 가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같은 체중이라도 앞발이 뒷발보다 지면에 닿는 면적이 적어 압력이 크게 작용한다. 이 점은 앞발자국만 나타나고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07
위해 4회로 늘릴 계획이다.항공존데최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발된 항공존데는
모형
비행기 모양으로 만들어져 지상 16km,거리 7천km까지 3-5일간 비행하면서 자료를 송신한다.복사나 대기 중 화학반응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특정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연직정밀바람측정기음파를 ... ...
한국최초 홀로그램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199606
제작해 사용한다. 실물을 그냥 썼다가는 강한 레이저빛에 녹아버리기 때문이다. 또
모형
에 흰색 도료를 발라 촬영하기 때문에 단색밖에 색깔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4월부터 기획회의가 연일 반복됐다. 무엇을 홀로그램으로 나타낼 것인지를 정하는 회의였다.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주위 ... ...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606
단계에서 지수함수적으로 팽창(인플레이션)이 있었다는 이론이다.우주를 설명하는 모든
모형
에는 우주에 우리가 모르는 이론과 '암흑물질'의 존재를 예상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양의 암흑물질이 존재하며, 또한 그 실체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다. 이 문제는 우주의 구조, 즉 은하계의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