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06
- 존재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엔셀라두스 역시 2005년 얼음과 수증기 기둥이 발견 된 이후 가장 중요한 탐사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2008년 에 주요 탐사 임무를 완료한 카시니 호는 2010년까지 첫 번째 추가 임무를 완료했고 두 번째 추가 임무를 계획하 고 있다. 엔셀라두스의 비밀이 더 밝혀지길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줬더니,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상자를 피하게 됐다. 이후 실험 쥐의 절반에게 특수한 처리를 해 뉴런의 재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했다. 즉 새끼 쥐의 뇌가 어른 쥐의 뇌로 ‘교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쥐들에게 4주 후에 다시 상자를 보여주자, 조작하지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06
- 누가 국가의 보상과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과 같은 ‘현실’ 말이에요.쓰나미 이후 스리랑카 사람들의 대처법PTSD의 진단과 치료를 통해 전쟁이나 재해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좀 더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면 그것은 좋은 일이고 반드시 해야 할 일이에요. 그러나 과연 어떤 방법이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06
- 소개된 ‘우주의 끝을 찾아서’를 읽어보자. 관측 천문학자인 이강환 박사는 빅뱅 이후 가속 팽창하고 있는 우주와 관련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인플레이션 우주론, 암흑에너지 등을 과학자들의 실제 관측 경험담과 함께 풀어낸다. 중간 중간 삽입된 실제 자료와 그래프는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때가 있다. 물론 씨까지 함께 먹는 참외도 있고! 작년 여름에 수박씨를 삼켰는데 그 날 이후에 배가 많이 나오는 거 같다고? 혹시 배 속에서 싹이 튼 게 아니냐고? 걱정할 필요 없다. 씨앗은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 있는데 온도, 물, 산소가 알맞은 환경에서만 껍질을 뚫고 싹을 틔울 수 있다. 사람의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06
- 이긴 우루과이가 마지막 본선 티켓을 거머쥐었다. 우리나라는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이후 9회째 월드컵 본선 티켓을 따내,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월드컵에 진출한 나라가 되었다. POINT2014 월드컵에서 아시아 출전국이 3개인 이유는?이번 월드컵의 본선 진출국을 살펴보면, 아시아 나라가 3개밖에 없는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06
- 못했던 7번째 요정이 마법을 걸어, 공주는 죽는 대신 100년 동안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이후 공주는 100년의 시간이 흘러 저절로 깨어난다.이 동화는 그림형제에 의해서도 1812년 출판되는데, 여기서는 요정이 아니라 마법사가 등장한다. 그 수도 무려 13명이나 된다. 나머지 이야기는 페로의 동화와 ... ...
- 6회 캠퍼스에서 수지의 흔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06
- 보았다. 그 결과 10년 전 음대를 다니고 있었던 수지는 어느 날 갑자기 실종되었고, 그 이후로 수지를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K와 수지가 뭔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추측한 왕 반장 일행은 곧바로 수지에 대한 흔적을 찾기 위해 수지가 다니던 캠퍼스로 향했다. 정말 수지는 K와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06
- 식으 로 간간히 이상한 궤적을 보이는 위성이 발견됐다. 삐딱 위성의 절정은 20세기 말 이후였다. 초정밀 관측 기술 이 발달하면서, 작은 위성 발견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현재 이런 ‘천방지축’ 위성은 100개가 훌쩍 넘는다(5월 15일 국제천문연맹 왜소행성센터 자료 기준 목성 59개, 토성 39개, 천왕성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06
- 탑시계는 1980년대 초 새로운 전자시계와 임무를 교대했다. 역사 속으로 은퇴한 탑시계는 이후 30여 년간 조용히 잠들어 있었다. 그러다 서울대병원 의학역사문화원이 1970년대 말 철거된 대한의원 본관 서쪽 날개채를 정밀 조사하다가 이 시계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됐고, 서울대병원이 탑시계를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