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4,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저는 로봇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05
단 하나도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_판관이 낮은 목소리로 물었습니다. “5
0
년은 길다면 길지만 또 짧다면 짧을 수 있는 기간이다. 일시적인 정체로 볼 수 없을까?”로봇이 말했습니다 :인간들의 주관 안에서 시간의 길고 짧음에 대한 기준이 변화 가능함을_그리고 변화와 새로움에 대한 ... ...
지진 예측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05
자체적으로 지진계를 설치했다. 이렇게 갖추어진 인프라를 바탕으로, 일본 정부는 2
00
7년 1
0
월부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해, 위험지진 발생시 즉각적으로 방송을 통해 통보하고 있다. 이 지진 조기 경보는 2
0
11년 동일본 대지진에서 피해를 줄이는 데 많은 공헌을 했다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05
되셨죠?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잡 스케줄링 문제야채 스프를 끓이기 위해 꼭 해야 할 1
0
가지 일은 다음과 같다.➊ 불 피우기(8분) ➋ 야채 씻기(2분) ➌ 야채 썰기(3분) ➍ 야채 익히기(7분) ➎ 간단한 소스 만들기(7분) ➏ 식사 장소 찾기(3분) ➐ 식기 꺼내기(2분) ➑ 천막 또는 텐트 치기(8분) ➒ 상차리기(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04
덕분에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뇌 신호의 카오스 패턴을 분석하라!뇌는 1
000
억 개의 신경 세포들이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다. 각 신경 세포들은 끊임없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회로망을 재구성하고 환경에 적응한다. 이때 서로 규칙적인 신호를 주고받기도 하고, 전혀 예상치 못한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
과학동아
l
201304
가까워질수록 엔트로피 변화도
0
에 근접한다는 열역학 제3법칙을 발표했고, 이 공로로 192
0
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 발터 네른스트의 취미는 농장 가꾸기였어. 동부 프로이센 지역에 수백만 평의 부지를 사서 소와 잉어를 키우고 농사를 했지. 평범한 취미 생활일지 모르겠지만,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04
18
00
m까지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다. 상록침엽수인 구상나무는 제주도 한라산 해발 12
00
m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지역에 분포한다. 두 나무는 최적 환경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서식지 확보를 위해 경쟁할 필요가 없다.그러나 신갈나무와 소나무는 서로 물고 물리는 관계다. 신갈나무는 토양이 깊고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
흐르는 물보다 딱딱한 얼음이 더 차가운 것처럼, 원자는 움직이지 않을수록 더 차갑다. 198
0
년대 과학자들은 원자를 가운데 놓고 여섯 방향에서 레이저를 쏴 원자를 꼼짝달싹 못하게 가둬놓는 방법으로 수만 분의 1K까지 온도를 낮췄다.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볼프강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04
197
0
년대 초반 도심의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
00
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년간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04
한다. 그러자면 다시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힉스 입자의 대표적인 성질은 스핀이
0
이라는 점과 ‘패리티’라는 일종의 대칭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발표는 바로 이 두 가지 특성을 확인했다는 내용이다. LHC는 2
0
12년의 모든 데이터(작년 7월 시점에 비해 2.5배 수준)를 그러모아 분석한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04
나선형 잎차례에서 잎 사이의 각도는 137.5° 또는 222.5°에 가까워진다. 그런데 137.5°를 36
0
°로 나누면 약
0
.382, 222.5°는 약
0
.618이 된다.
0
.382는 1에서 황금비의 수인
0
.618을 뺀 값과 같다. 따라서 두 각을 ‘황금각’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잎과 잎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