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획"(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거대충돌설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다. 때문에 NASA의 화성 탐사 등 다수의 우주 계획에 참여해온 오데드 아하론슨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 지구및행성과학과 박사팀은 2017년 원시 지구와 작은 천체들이 여러 차례 충돌하는 과정에서 달이 만들어졌다는 ‘다중 소충돌설(multiple smaller moonlet-forming ... ...
- [비하인드로켓] 개발모델, 인증모델, 비행모델, 나로호 2단의 쌍둥이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연소 압력이나 노즐부 온도도 문제가 없었다. 문제는 예상치 못한 페어링에서 발생했다. 계획대로라면 나로호 발사 216초 후 페어링이 분리돼야 하는데, 페어링 두 쪽 중 한쪽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았다. 페어링을 한쪽만 단 채 날아오른 나로호 2단의 운명은 이번 호에서 얘기하기에는 지면이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술술읽혀요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흔히 대학 생활의 꽃은 동아리 활동이라고 한다. 재미있는 활동을 하면서 친구를 폭넓게 사귈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 조금 여유로워지는 4학년이 되면 다시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폭넓게 친구를 사귀어볼 계획이다 ... ...
- [과학뉴스] 1600:1 경쟁률 뚫고,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된 한국계 미국인 ‘조니 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우선 국제우주정거장에 보내 훈련한 뒤, 2024년으로 예정된 달 탐사에 투입할 계획이에요. 더 나아가 이들은 2030년대 중반을 목표로 하는 화성 유인 탐사에도 배치될 예정이랍니다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 솔라(태양광패널) 등 여러 부품과 함께 버글러 종족 때문에 무너진 코딩 행성을 일으킬 계획을 세운답니다. 그들은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솔라 타워를 고치고, 코딩 행성의 온 땅에 전기가 가득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요? 매력 넘치는 부품 캐릭터들의 여정을 따라가며 전자과학을 즐겨 보세요 ... ...
- “지구에서 화성을 탐사하는 즐거움 느껴보세요”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붙어올 수 있는 외계 미생물이 지구로 올 때까지 우주방사선에 얼마나 노출될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 밖에 그는 목성의 위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유로파 클리퍼 미션’과 소행성대에 위치한 16프시케에 탐사선을 보내 태양계 생성 초기 물질을 조사하는 미션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는 국제 공동 핵융합연구시설을 개발하고 있어요. 2025년에 완공하여 연구를 시작할 계획인데, 훗날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이곳에서 연구하게 되길 바라요. 그래서 우리나라를 에너지 강국으로 이끌어주세요 ... ...
-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앱으로 인터넷 수업을 듣고, 사태가 진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5월경 우한대로 돌아갈 계획이다. 덕분에 이번 주 내내 시험 영상과 수업 자료를 봐야 한다.코로나19로 천금 같은 방학이 날아간 것은 억울하지만, 많은 분들의 관심과 배려 덕분에 안전하게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것만으로도 감사하게 ... ...
- “로봇 덕후들끼리 아이디어 나눠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등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며 “로봇의 속부터 겉까지 모두 우리 기술로 로봇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 석좌교수는 30여 년 전 과학동아를 구독한 ‘찐’ 과학동아 팬이다. 그래서 ROBOT 보드 어드바이저도 흔쾌히 수락했다. 그는 4월 25일 과학동아 독자들과 만나 ‘로봇기술과 미래’를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미래의 동료가 될 후학도 양성할 수 있는 교수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더욱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교수가 되려면 다른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 경력을 쌓고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했다.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원처럼 지도교수가 있는 게 아니다. 이 때문에 본인 스스로의 능력이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