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전염병에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나운성(전남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류충민(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 이효정(한국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장 ... ...
- 바이러스 사냥으로 미래 유행할 전염병을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바이러스를 더 조사하고 있어요.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노력이 있어요. 2016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은 국내 박쥐 서식지 11곳에서 혈액 등을 채취해 코로나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를 검출했어요. 연구에 참여한 나운성 교수는 “해당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염되는 종은 아니었으나, ... ...
- [수학뉴스] 태양빛 예측해 발전 효율 높인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기존 모형에 비해 신뢰도가 올라갔습니다. 요아킴 뭉크함마르 웁살라대학교 토목및산업공학과 교수는 “우리 모형은 분, 시간, 일 단위로 일조 강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태양 에너지’ 2020년 8월호에 게재됐습니다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온드백스도 사람에게 주로 유행하는 3종에 대해서만 실험을 했어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두진 연구원은 “범용백신을 만들면 예방할 수 있는 변종의 범위가 늘어난다”며, “코로나바이러스도 세포 감염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잘 변하지 않는 부분을 찾으면 이론적으로 범용백신 ... ...
- [만화뉴스]생선 비늘로 만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늘의 변신은 무죄랍니다. 지난 3월 18일 중국난징공학대학교 연구팀은 생선 비늘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거든요.연구팀은 먼저 수거한 생선 비늘을 깨끗이 씻었어요. 그 뒤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생선 비늘에 남아있는 단백질과 미네랄을 없애 젤라틴만 남겼어요.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것이 특이하다고 느끼기 때문일 거예요. 하지만 똥오줌에 관한 연구는 생물학, 의학, 환경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해요. 양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 중에 국제적인 똥 대란 현상에 관한 것이 있는데, 이는 현재 전세계에서 생산하는 가축의 똥이 점점 늘어나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만났을 때 풀고자 하는 반응이 자연스럽게 나오죠. 그리고 수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공학 문제를 수학 문제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 수식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는 것도 강점이에요. 문제와 관련한 분야의 논문을 읽으면서 수식을 쉽게 이해하죠. 수학을 전공하고 이 분야에 오면 정말 잘했다는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말의 개발과 발사, 운용 전반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미국 버지니아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고, 2013년에는 KAIST에서 과학기술정책으로 석사학위를 받는 등 한국과 인연도 깊다. 특히 2006년부터 7년간 한국에서 생활하며 국내 위성제조 업체인 쎄트렉아이와 함께 UAE의 인공위성인 ‘두바이샛 ...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어요. 항생제를 오·남용하면 이런 과정이 촉진되지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류충민 감염병연구센터장은 “감기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도 항생제를 쓰거나, 항생제가 가축을 살찌운다는 이유로 불필요하게 항생제를 먹이는 등 오용과 남용 사례 탓에 슈퍼버그가 빠르게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뉴미디어아트를 발전시켰듯 새로운 기술은 곧 예술의 새로운 재료가 될 거고 나노 공학이 발전하면 ‘미시 세계의 예술’ 같은 새 분야가 등장할 수도 있을 거예요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