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에틸렌글리콜(C2H4(OH)2)은 자동차 냉각수나 부동액의 성분으로 쓰이는 물질로, 비교적 간
단
한 구조의 알코올이다. 호위 교수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는 벌집을 먹고 살기 때문에 밀랍을 분해할 수 있다”며 “덕분에 밀랍과 화학 구조가 비슷한 폴리에틸렌 분해 능력도 획득한 것으로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분석이 동시에 진행되는 분야로, 이들이 잘 어우러지면 신원 확인을 위한 결정적인
단
서가 나올 수 있다”며 “전쟁에서 희생된 전사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과학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충치는 30세 이상 성인에게는 잘 생기지 않습니다. 대체로 어린이에 비해 법랑질이
단단
하고 치아 표면이 편평하기 때문입니다(좋아하긴 이릅니다. 30세를 넘어서면서부터는 치주질환이 급증합니다). 어쨌든 어릴 때 충치가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하면 어른이 돼서는 충치로 고생할 확률이 적다는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수시, 그중에서도 꾸준함이 중요한 학생부종합전형이 자신에게 가장 잘 맞을 것이라고 판
단
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서 씨는 3년 동안 자신의 꿈을 찾고 진로의 방향을 잡는 데 열중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교내·외 탐구활동과 이를 통해 학생이 진로를 결정해 가는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강연 예고: 김 교수는 “수만 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에서 유전정보 전체가
단
한 번의
단
절도 없이 대물림됐다”며 “이런 엄청난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강연에서 설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라는 도구가 인류에게 어떤 도움을 줄 것인지, 또 이에 따른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우리가 우주의 끝에 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거기서 우주 밖으로 손을 뻗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질문은 기원전부터 이어져 왔어요. 기원전 로마의 철학자인 루크레티우스 ... 낳는 계기가 됐답니다. 천사가 화살을 쏘는 생각에서부터 상대성 이론까지. 생각의 힘은 정말 대
단
하죠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재처리 시설이 재가동된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셈이다.북한은 재처리 시설 가동과 중
단
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대표적으로 1994년 ‘제네바 합의’ 이후 재처리 시설 봉인을 선언했다가 2002년 해제했다. 북한이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서 보관하는 이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오히려 안전 논란이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생각하죠? 수학자도 예외는 아닐겁니다. 역사상 자국에서 필즈상을 받은 수학자는
단
4명뿐입니다. 마르케스 교수도 그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까요? 8월 1일에 그 결과를 지켜봐 주세요 ... ...
기하학 입은 패션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유일의 수학패션지 GEOMETRY 1호를 끝내려고 합니다. 바오바오백부터 그림을 입는 패션, 원
단
의 낭비를 없앤 패션까지 살펴봤는데 기하학과 패션이 어우러지는 모습이 참 신기하지 않았나요? 2호가 벌써부터 기대될 겁니다. 자, 그럼 2호에 담을 소재를 찾으러 저는 이만 취재를 하러 떠나야겠습니다.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이렇게 대
단
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요? 놀랍게도 정답은 ‘1!’
단
한 편이랍니다. 수학은 변호사이자 지방 의원이었던 페르마의 취미 생활이었거든요. 페르마는 틈틈이 생각나는 것을 노트나 책 귀퉁이에 낙서처럼 썼어요. 그리고 친구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의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