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초
d라이브러리
"
말무리
"(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01년 첫 아침에는 휴대폰으로 고향에 있는 친척들과 화상전화를 할지 모른다. 빠르면 2001년 상용될 것으로 보이는 IMT-2000 덕분이다. 길을 걸으며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전세계 어디서나 단말기 하나면 통화가 가능한 IMT-2000에 대해 알아보자.버스 안에서 어떤 여자가 휴대폰으로 친구와 수다를 떤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①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다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햇빛이 반사와 굴절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로 무지개는 서쪽 하늘에 보인다.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서쪽 지역의 날씨가 동쪽에 나타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고수머리의 열대 사람들은 팔과 다리가 길며, 갈기머리의 한대 사람들이 팔과 다리가 짧은 것은 기후에 적응하려는 자연적인 모습이다. 뿐만 아니다. 기후는 사람들의 기질과 경제 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순화란 의미의 ‘acclimatization’이란 영어 단어가 있다. 이 단어는 기후(climate) + 응(應)하여(ac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자자리 유성우가 온통 별밤지기들의 마음을 뺏고 있는 11월이다. 조금 일찍 집을 나서 가족들과 함께 늦가을의 별자리도 익히고 쌍안경으로 숨어있는 아름다운 천체들을 찾아보자. 이것만으로도 취할 만큼 아름다운 가을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목성과 토성목성(남중 : 밤 10시 28분)이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공룡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본 사람은 없다. 그런데도 영화 '쥐라기공원'과 '잃어버린 세계'에서는 공룡들의 행동과 습성을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어떻게 공룡학자들은 움직임과 생태를 알아냈을까. 또 공룡의 감각기관과 뇌능력은 어느 정도였는지 함께 알아보자.우리가 공룡에 대해 경외심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물이 생을 마치는 모습은 모두 제각각이다. 하루살이보다 짧게 사는 생물도 있고, 집단의 수를 줄이려고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종류도 있다. 코끼리는 죽을 곳을 스스로 찾아간다는데 과연 사실일까.중국 전국시대의 철학자 장자(壯者)는 부인이 죽었을 때 울지 않았다고 한다. 울기는 커녕 항아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조선시대 한국인의 평균 키는 1백50cm였다. 2020년에는 이보다 20cm 정도 증가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인의 체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체력은 현재보다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TV를 보면 ‘지오레인저’라는 어린이 프로그램이 있다. 여기에 몸통은 없고 머리만 있는 조단이라는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인간은 사랑이 기쁨과 슬픔, 환희와 좌절, 열정과 배신의 모습을 가진 야누스라는 것을 알면서도 존재하기 위해 사랑을 선택하다. 정서라는 강 저 밑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사랑을 과학으로 깨워본다.일요일 아침 단잠을 포기하고 친구 결혼식에서 부케를 받은 A양. ‘부케 받고 3개월 안에 시집 안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청명한 밤하늘이 많은 10월 밤 은하수는 북쪽 하늘에서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를 지나며 큰 원호를 그린다. 깊은 밤 머리 위에는 가을의 상징인 페가수스 대사각형이 자리잡고 동쪽에는 황도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와 양자리가 밝게 빛나는 목성과 토성을 안고 있다.1. 물고기자리 Pisces대략위치: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북극해 탐사가 7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70여일간에 걸쳐 중국, 일본, 러시아, 타이완 등의 학자들과 공동으로 추진됐다. 이번 탐사에는 플랑크톤 등 미세 조쥬를 연구할 목적으로 남극 세종기지에서 극지경험을 풍부하게 쌓은 한국해양연구소의 강성호 박사와 송태윤 연구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