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같은 소셜미디어 정보 에서 구조 요청 메시지와 일반 메시지를 구분하는 기 술도 개
발
하고 있다. ‘구해주세요’ ‘갇혀있어요’ 같은 주 요 키워드를 이용해 빅데이터에서 구조 정보를 걸러내 는 기술이 골자다. 이런 서비스들은 비록 인터넷, 전기 가 있어야 한다는 한계가 분명하지만 전화가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친구라고 소개해요. 그래서 작품에도 ‘안트레이’라고 사인을 하지요. 자신의 이름과
발
음이 비슷하고 개미를 뜻하는 영어 단어(ant)를 활용했지요.안드레이의 전시회를 찾아간 방문객들은 작품을 본 느낌을 자유롭게 그려보았어요. 어린이가 그린 그림 속에는 개미가 오토바이를 타거나 화가처럼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있었을 수도 있지요. 친구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는 더 많은 화석이
발
견돼 티라노사우루스나 벨로키랍토르가 새로운 모습을 하고 있을지도 몰라요. 만약 수천만 년이 지난 뒤 살고 있는 인류가 지금 우리들을 복원한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한번 상상해 보세요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공룡은 사지(死地)에서 살아 돌아왔다. 이들은 친척들이 멸종한 이후 신생대 들어 폭
발
적으로 번성해 오늘날 하늘을 지배하고 있다. 1억5000만 년이나 지속된 경이로운 진화에 경탄을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새는 왜 강한가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미국 보잉사는 ‘전자기장 아크를 통한 충격파완화방법 및 시스템’ 특허를
발
표했다. 폭
발
감지센서가 포탄이 터진 뒤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파를 인식해 플라스마 방어막을 만드는 기술이다. 충격파가 진행하는 경로에 파의 일부를 반사·굴절·흡수하는 새로운 매질을 만들어 에너지밀도를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상처부위를 포비돈 요오드로 소독한 뒤 이틀간 지혈대를 덮은 환자에게서 3도 화상이
발
견됐다. 3도 화상은 피부뿐 아니라 피하조직까지 모두 상한 심각한 화상이다. 연구팀은 특히 뒷목이나 등처럼 체중이 실리는 부위를 빨간약에 오래 노출시키면 화상이 생길 위험이 크다고 밝히고 있다. 포비돈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살자. 알았지?” 갑작스런 고백에 소녀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냐고요? 아니요. 소년을
발
로 뻥 찼어요. “지금 프러포즈 한 거야? 똑바로 다시 준비해 와!!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잘 만들어진 까치의 둥지는 겨울에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 때 진가를
발
휘해요. 지난 2004년 서울대학교 캠퍼스에 지어진 까치의 둥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까치는 둥지의 모양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마치 비행기의 날개처럼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수 없었다. 피트는 사람의
발
(foot)을 기준으로 정한 단위다. 저마다 다르게 생긴 사람의
발
을 떠올려보면, 1피트가 얼마나 뒤죽박죽이었을지 짐작해 볼 수 있다. 고민을 거듭하던 위원회는 지구를 떠올렸다. 적도 위의 한 지점을 정해 그곳에서 북극점까지 거리를 재고 그 값의 1000만분의 1을 1m로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필요하다”고 말한다.복잡한 사회생활은 거짓말을 낳았고, 거짓말은 다시 인류의 눈부신
발
전을 낳았다. 거짓말이야말로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하는 요소다. “호모 팔락스(Homo Fallax, 속이는 인간)”. 뉴잉글랜드대 진화심리학연구소장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우리는 왜 거짓말하는가’라는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