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납
땜납
연의소설
소설
절
한 절
d라이브러리
"
연
"(으)로 총 1,062건 검색되었습니다.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는 과학장비나 산업공정에 이용되고 있는 고도의 선택적이고 예민한 감지장치다. 벌써
연
5백억원 이상의 세계시장이 형성돼 있는데 이것도 알고보면 효소장치다. 특정효소를 전기장치에 부착, 특정물질과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그 물질의 존재와 양을 정확하게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실력이 널리 알려지면서 여기저기서 초청강사 요구가 쏟아지기도 한다. 대기업의
연
수회에 초청을 받아 별사랑 방법을 널리 알리기도 하고 라디오프로인 '별이 빛나는 밤에'가 주최하는 별밤 행사에서 밤하늘 정서의 폭을 대폭 늘려주기도 한다.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주최의 중학생 과학캠프에도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행히 금년부터 국가의 G7과제에 포함되어 1차적으로 ${CO}_{2}$의 분리 및 화학적 고정
연
구를 시작하고 있다.우리들이 지구환경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사이에 이 지구는 환경오염으로 서서히 병들어 가고 있다. 선진국들은 자기들이 이 지구를 병들게 한 주범들이면서도 책임을 회피하고 자기들의 ... ...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analgesia이라 한다)가 상해 제일인민병원에서 첫 성공 후 광주 유주결핵의원 등 타병원 및
연
구기관에서도 성공적으로 시행됐다. 환자가 각성된 상태에서 수술에 협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침작용에 의해 환자의 항병력을 조절, 증강시킬 수 있고 마취약물에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
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신기술개발전략에 따르면 유럽의 공동기술개발전략은 경쟁이전단계(pre-competitive)의 기초
연
구에 중점을 둔 보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며 또한 목표지향적 프로젝트 추진정책(major targeted project)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결론적으로 서두에서 말한 것처럼 최근 첨단기술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유럽의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를 활성화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광주에서는 생물교사 98명이 모여 생물교육
연
구회를 조직, 무등산 식생조사 등을 벌이고 있으나 재정지원이 미흡해 성과는 별로 크지 않아요.강영철…저도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식물분류를 전공했으므로 이번 탐사에 거는 기대가 컸습니다. 하지만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쌀을 자급자족하지 못하여 외국에서 수입하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볍씨개량 목표는 당
연
히 수량성이 우선이었고 다음으로 쓰러지지 않으며 병해에 강한 종자를 얻는 것이었다.1971년부터 1980년까지는 쌀의 자급자족을 가장 열망하던 시기였다. 수량이 많은 볍씨개발에 박차를 가하던 중 1965년에 ... ...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계기로 본 현대교량 그 종류와 장단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금할 수 없다. 앞서 타코마교의 붕괴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대형사고 후 이에 대한 조사와
연
구를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기술발전이 이룩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사장교라는 교량형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새로운 관점에서 이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한강의 올림픽대교와 돌산대교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것은 아니다. 매우 소중한 생태계의 파괴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지구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
결되어 있어서 한군데가 썩으면 다른 쪽이 불결해진다.따라서 지금도 쓰레기 매립장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매립장중의 하나는 뉴욕 스테턴섬의 프레시 킬스매립장이다. '킬스'라는 단어는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내성균(耐性菌)이 생겨서 미군은 월남전에서 말라리아 때문에 또 다시 고생했는데 많은
연
구투자에도 불구하고 해결을 보지 못했다.중국에서는 동진왕조 때(A.D. 281~340년) 발행된 주후비급방이라는 책에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똥쑥이 소개됐다. 이 사실은 본초강목에도 언급돼 있으나 현대약학에서는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