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교수팀은 상처 난 부위에서 어떻게 지방세포를 생성하는지를 밝혀 ‘사이언스’ 1월 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의 피부에 난 상처가 낫는 동안 근섬유아세포를 지방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하면 흉터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했다.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 등이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언어의 진화 과정을 밝힐 새로운 단서가 나왔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인지심리학과 조엘 파고트 교수팀은 개코원숭이(Papio papio )가 모음에 가까운 발성을 할 수 있다는 ... 언어가 진화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
일자
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
일자
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시원하게 하거나, 지구에서 빠져나가는 방사선을 흡수해 지구를 데우는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잡한 화학작용으로 공기 중에 얼음 결정 구름이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만들어서 민감도가 4배나 뛰어난 바이오센서를 개발해 ‘나노스케일’ 2016년 11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doi:10.1039/C6NR07664E).연구팀은 생체분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분자를 이용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최근 국내 연구진이 광학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돌파구가 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
일자
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줄기세포를 자극해 충치의 손상부분을 재생했다고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9
일자
에 밝혔다.치아는 바깥쪽의 단단한 법랑질과 여기에 붙어있는 상아질로 구성된다. 그보다 더 안쪽에는 신경과 혈관 줄기세포가 있는 치수가 있다. 연구팀은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물질인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효율적으로 흡착해 없애는 데 성공하고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12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는 크롬 이온과 유기산 화합물로 구성된 물질로 0.5∼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수없이 뚫려있다. 이 소재에 들어 있는 크롬 이온은 질소와 붙을 수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0%인 250만 명은 만성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대한통증학회 통계). 만성통증은 이유 없이 두통, 요통 등 통증을 느끼는 병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도 어려 ... 방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년 12월 19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과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빛을 받으면 정보를 저장한 부분이 녹아 없어지는 새로운 보안 메 ... 안전하게 관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
일자
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어른이 돼도 자라는 뇌 부위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얼굴을 인식하는 부위는 어른이 돼도 계속 자란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월 6
일자
에 발표했다.그간 뇌의 부피 성장은 12세가 되면 완성되고, 각 부위는 시냅스가 활발히 가지를 치면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이 어린이와 어른 각각 22명과 25명의 뇌를 정량적자기공명영상(qMRI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