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업일"(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무한과 수론, 그리고 우주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무한수의 덧셈연초부터 각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1+2+3+4+…’ 꼴의 무한급수가 물의를 일으켰다. ‘물의’라는 표현이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문제는 이 급수의 합이 다음과 같다는 주장 때문이었다.사실 이 등식은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18세기 수학의 대가 오일러가 거론하기도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현대 공룡 연구의 대세는 뭘까. 새로운 공룡을 발견하는 것? 그렇지 않다. 요즘 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룡의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거대한 육식공룡이 얼마나 빨리 뛸 수 있는지, 얼마나 강하게 먹이를 무는지, 가족을 이뤄 생활했는지, 사냥을 어떻게 했는지, 지 ... ...
- 간질과 ‘코 다 페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골든타임’이나 ‘굿닥터’같은 의학 드라마의 주인공은 왜 늘 의사일까요? 식은땀을 흘리며, 어려운 전문 용어들을 뱉어가며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선생님은 참 멋있지요. 하지만 자신의 몸에 나타나는 문제들이 어찌된 것인지 제대로 이해할 길 없이, 무뚝뚝한 의사 선생님의 해결만을 기다려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헬로우! 마이 네임 이즈 로보캅. 여러분, 저 로보캅이 돌아왔습니다! 새로 개봉한 영화는 물론 보셨지요? 지난 1987년, 제가 처음 영화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저와 같은 사이보그는 있을 수 없는 가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2014년 현재, 로봇공학자들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일이 불가능하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남쪽으로 1만 km 넘게 날아가면 나오는 남극 대륙. 같은 북반구에 있지도 않은 남극을 우리가 왜 신경 써야 할까. 정말 호주의 두 배에 달하는 대륙 아래 잠들어 있는 지하자원을 미리 조사하기 위해서일까. 수천m가 넘는 두꺼운 얼음을 뚫고 자원을 개발하는 작업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다. 현재 남극 ... ...
- 스포츠 산업, 수학으로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스포츠 수학’이라고 하면 피겨스케이팅 경기에서 점수를 계산하는 규칙이나, 김연아 선수의 몸동작 속에서 찾을 수 있는 기하학적인 모양을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수학은 단순히 운동 경기의 한 요소를 넘어 경기를 좌지우지 하고, 하나의 산업을 이룰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동계올 ... ...
- 혈당 체크해주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구글글래스와 무인자동차를 개발한 ‘구글 X 프로젝트’ 팀이 다음 도전작을 공개했다.구글은 1월 16일, 작은 센서와 무선 칩을 탑재한 ‘스마트 콘택트렌즈’ 시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 콘택트렌즈에는 2장의 렌즈 사이에 매우 미세한 혈당 측정 센서와 무선 칩, 머리카락보다 가는 안테나, LED 라 ...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아빠가 꼭…, 약속 지킬게.”백혈병을 앓던 딸은 병원에 채 못 미쳐 아빠의 택시 뒷좌석에서 숨을 거둔다. 23살 젊은 나이에 하늘 나라로 떠난 딸을 보며 아빠는 약속한다. 공장에서 억울하게 병을 얻어 고통 속에 죽어갔음을 알리겠노라고….그날부터 아빠는 길고 긴 싸움을 시작한다. 딸이 일하 ... ...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도전! 수학자’에 참여해 주신 분들 환영합니다. 대개 수학자라고 하면 연구실에 콕 박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연구만을 할 것 같지만, 의외로 누구나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퍼즐을 연구하며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런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 때부터 ...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Q. 컴퓨터공학을 왜 배워야 하나요?A. 전통사회에서는 젊은이들이 노인에게 와서 뭐든지 물어봤죠. 수많은 경험이 축적돼 온갖 분야에서 지혜를 발휘하니까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컴퓨터에 쌓인 빅데이터가 그 역할을 맡게 될 겁니다. 불과 10~15년 뒤면 우리 실생활의 어려운 문제를 컴퓨터에게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