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방법은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에 분류코드를 매겨 보존하는 방법이에요. 그런데 이때
저장
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 환경도 함께 보존해야 해요. 예를 들어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기록물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런데 수십 년 뒤에는 한글 프로그램이 사라질 수도 있잖아요. 그래서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지금 잠자고 있는 곳은 영하 18℃야. 엄청나게 큰 에어컨이 온도를 유지시켜 주고 있대.
저장
고는 북위 78° 북극권에 있는 스발바르제도에 있는데 여름에도 평균기온이 6℃일 만큼 추운 곳이라 위급한 상황으로 전기가 끊겨도 자연냉동이 가능하대. 또 해발 130m에 있는 영구 동토층에 있는 단단한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년 전부터 탐사선을 보낸 미국은 관측 자료도 자신들만의 오래되고 독특한 방식으로
저장
했다. 디지털 세대인 심 박사는 파일을 여는 법부터 새로 배워야 했다. “하지만 타이탄은 그런 노력이 아깝지 않은 정말 특이하고 흥미로운 위성이에요. 측정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졌지만, 여전히 모르는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생명체 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INSIDE | 목성과 토성 위성이 ‘물
저장
소’인 이유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목성과 토성의 위성이 액체 상태의 물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조석가열’ 현상 때문이다. 목성의 가장 안쪽에 있는 3개의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는 재미있는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곳에서 자란다. 우기 때 나무의 굵은 몸통에 물을
저장
해서 건기를 버틴다. 매우 빨리 자라서, 정말로 며칠만에 어린왕자의 소행성을 덮어버릴지도 모른다. 게다가 가지를 이쪽저쪽으로 마구 뻗어서 기괴하게 생겼다. 흔히 바오밥나무하면 아프리카 동쪽의 섬나라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뉴런은 기존 뉴런보다 새로운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저장
할 수 있다.뉴런은 다른 수천 개의 뉴런과 밀접한 연결(시냅스)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만약 해마에서 많은 뉴런이 새로 만들어지면, 이들이 기존 뉴런들 사이를 파고들면서 종래의 시냅스를 끊어버릴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만든 고분자(플라스틱)는 쓸 데가 없다는 거였어요. 그런데 황은 리튬 이온을 많이
저장
합니다. 차세대 전지에 리튬황을 이용하려고 할 정도지요. 그러니까 여기에 황 플라스틱을 쓰면 황이 새지도 않고 효율도 좋은 전지가 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세계 17위 전공기업 임원 15%는 화공과 출신Q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유명하다. 이곳에서는 지금껏 분석한 모든 쥐의 건강기록부를
저장
하고 있었다.“이건 쥐의 혈당 그래프입니다. 이 쥐의 과거 기록과 다른 정상 쥐의 기록을 자동으로 비교해 보여주기 때문에 한 눈에 차이점을 알 수 있어요.”소프트웨어 개발팀 홀게르 마이어 박사가 ... ...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비길 확률이 모두 3분의 1로 같아 공평한 게임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중국
저장
대의 수학자인 왕 즈지엔 교수가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에 참여한 72명을 12명씩 6개 팀으로 나눠 각각 300번의 가위바위보를 하도록 했다. 실험의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트랜지스터가 들어있다. 스마트폰 화면의 정보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
해야한다. 메모리는 축전기라 불리는 도체다. 여기에 전자가 들어있으면 1, 없으면 0이다. 이렇게 전자를 축전기에 넣거나 뺄 때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4GB의 메모리라는 말은 4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축전기가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