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기"(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리의 나노반도체 디자인 기술을 적용해 보자고 해서 다른 연구팀에게 도움을 주기도 했다”고 말했다.신재생 청정에너지원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물을 분해하면 나오는 수소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꼽힌다.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할 때 빛이 촉매역할을 하는데, 이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아무 의심도 없이 돈을 보내는 것은 돈의 이동과 나의 거래 내역을 은행이 보증해 주기 때문이다. 만약 은행이 없다면 다른 무엇인가가 거래 내역이 위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해줘야 한다. 블록체인은 바로 이런 보증의 기능을 독특한 개방형 알고리즘을 이용해 해결했다.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 ...
- Part 1. 닭은 억울하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민감하게 감지해 울 수 있답니다.●멜라토닌 : 송과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빛 주기를 감지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닭은 머리가 정말 나쁠까?흔히 머리가 안 좋은 사람을 닭에 비유해요. 닭의 머리는 정말 나쁠까요? 일반적으로 조류는 뇌의 용량이 작고, 뼈가 비어 있어요. 또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서열이 낮은 암컷도 어떤 경우엔 임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제 여성 호르몬 주기도 정상적으로 반복됐다. ‘페로몬 임신 억제 가설’은 서서히 잊혀졌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열이 낮은 암컷이 임신하는 빈도는 매우 낮다. 새끼를 낳더라도 양육은 대부분 실패한다. 심지어 비단원숭이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호흡기 조직에 침투해 독감을 일으킨다. 매 겨울마다 유행하는 계절성 독감과 수십 년 주기로 대유행 독감을 일으키는 장본인이다. 공처럼 둥근 모양으로 지름은 약 80~120nm다. 핵단백질에 따라 A, B, C로 나누는데 대개 A형 중 H1N1과 H3N2, 그리고 B형이 계절성 독감을 일으킨다. 종류와 분리된 지역,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상사법칙에 따라, 비율을 줄였을 때 모형이 가져야 하는 질량과 교량 각 부위의 진동 주기 등을 계산해 만든다. 실험할 때 부는 바람도 상사법칙에 따라 속도를 줄여 준다. 예컨대 실제 다리에 부는 바람이 초속 70m라면, 100분의 1로 줄인 모형에서는 100분의 1에 제곱근을 취한 값(10분의 1, 즉 초속7m)을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할 수는 없었지만 점점 더 얼굴을 볼 때마다 짜증이 나고 말 한 마디도 제대로 받아주기 싫어졌다. 늙어서 그런지 기억력이 희미하다며 고개를 갸웃거리는 노인도, 박사님 박사님 어쩌고 하면서 눈에 뻔히 보이는 아줌마 잘못을 모르는 건지, 알면서도 뭐라고 못하는 건지 알 수 없어 답답하고 짜증이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가기 위해 방향을 찾는다. 교사가 짝을 지어준 두 학생은 머리를 맞대고 길을 찾아주기 위해 한참을 고민했다.또 다른 한 쪽에서 학생들은 햄스터 로봇으로 축구 경기를 하고 있었다. 햄스터 로봇의 방향을 이리저리 움직여가며 건전지로 만든 골대에 스티로폼 공을 넣는 축구 게임이다. 조금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천왕성과 해왕성은 왜 빠졌을까? 그 이유는 천왕성은 84년, 해왕성은 165년으로 공전주기가 너무 길기 때문이다.구슬로 시각을 알려 주는 굴러가는 시간 국립과천과학관에 가면 아주 특이한 시계를 만날 수 있다. 바로 구슬로 시간의 흐름을 알려 주는 ‘굴러가는 시간’이다.이 시계는 1분마다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험했다는 일화가 연상되는 우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 예를 들어 1초를 주기로 자극 펄스의 강도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무언가가 손가락을 감싸 쥐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벨크로나 사포 같이 거친 표면을 만지는 느낌이나 피부를 탁탁 건드리는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