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년제"(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람에게 계절성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주로 A형 2종과 B형 2종 등 4종이다. 오소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유전자 서열에 따라 크게 A, B, C형으로 나뉜다. 이 중 사람을 감염시키는 건 A형과 B형이다. 표면에 공통적으로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데이즈(N)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여기 기상천외한 장이 열렸소. 품목은 바로 먼지! 봉이 김선달이 특별히 엄선한 먼지들로 준비했으니 쓸모없고 해롭다고만 생각지 말고, 일단 와서 준비된 먼지들을 보길 바라오. 금세 매진될 것 같다고 하니 관심 있는 자들은 봉이 김선달의 설명을 잘 듣고 원하는 먼지를 꼭 살 수 있길 바라오!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지난 10월 23일과 24일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수학 10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 수물과 설립 100돌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가 치러진 것이다.그런데 20세기 초 유명한 수학자라고 하면 힐베르트, 푸앵카레 등 줄줄이 서양 수학자만 떠오른다. 국내 수학자에 대해선 그만큼 잘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띠리링. 아침 7시, 벌써 출근 시간이다. 어차피 나가서 할 일도 없는데 출근 시간은 어김없이 돌아온다. “아침은 무엇을 드시겠어요?” “베이글.” 지잉. 얼마 전에 구입한 가사도우미 ‘디봇(D-bot)’이다. 내가 빵을 먹을 때는 딸기잼을 발라 먹지만, 베이글에는 크림치즈를 발라먹는다는 것을 학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서울 모 대학원 피해학생 심층인터뷰대학원 실험실(랩)을 고르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다. 학부 때부터 친하게 지내던 박사과정 선배들은 한사코 자기 랩에 오지 말라며 손사래를 쳤다. 어떤 랩이 좋은지 정보를 얻기 힘들었다. 마침 관심 있는 주제를 연구하는 랩에서 인턴을 뽑아 지원했다. 인턴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피 한 방울로 250여 가지 검사를 해준다. 주삿바늘도 필요 없고, 가격도 기존 검사의 10분의 1이다. 거짓말 같지만 실리콘밸리의 ‘테라노스’라는 바이오 회사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다. 덕분에 테라노스는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스타트업이 됐다. 하지만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이 테라노스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일들이 한꺼번에 일어나고 있다. 지구의 평균기온은 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정점을 찍었다. 지구온난화 때문에 엘니뇨의 파급력도 역대급으로 커졌다. 열대 태평양 지역이 극심한 가뭄과 홍수, 태풍에 시달리고 있다. ...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느릿느릿 달팽이 두 마리가 언덕을 기어가다가 서로 마주친 순간! 어머나! 뒤에 핑크빛 하트가 뿅~ 생겨났어요. 여기에 미세한 물방울이 사방으로 흩날리면서 빛을 반사해 아름다운 사진이 탄생했네요. 이렇게 사랑스러운 사진을 찍은 사람은 이스라엘의 나다브 바김 작가예요. 작가는 붓에 물을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기생충 퇴치 약물을 개발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일본 기타사토대 오무라 사토시 명예교수와 아일랜드 출신의 미국 드류대 윌리엄 캠벨 교수는 회선사상충증 치료제인 ‘아버멕틴(Avermectin)’을 발견한 공로로 상을 받았다. 중국에서 평생 연구한 중국 전통의학연구원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번 노벨 화학상은 세포 내 DNA 복구 메커니즘을 밝힌 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토마스 린달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명예교수, 폴 모드리치 미국 듀크대 의대 생화학부 교수, 아지즈 산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생화학 및 생물리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인간의 DNA는 자외선이나 각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