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어린이과학동아
"
저장
"(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우스보다 편한! 윈도스 단축키들 -1탄-
기사
l
20200109
구성된 다른 단축키들입니다. Ctrl+A: 전체 선택 Ctrl+X: 잘라내기 Ctrl+Esc: 시작메뉴 부르기 Ctrl+Alt+Del: window 작업 관리자 부르기 Ctrl+S:
저장
하기 Ctrl+Window+D: 새 데스크톱 만들기 Ctrl+Window+화살표키(→←): 데스크톱 옮겨 다니기 두 번째로 많이 쓰이는 것은 Alt 키와 ...
크리스마스 기념 조커 그림
포스팅
l
20191225
ㅋㅋㅋㅋ 크리스마스라고 팀원들이 다 꾸며놓고 튀었습니다(후속작 스포) 불쌍한 조커.. 이거
저장
함 신고해여아랏죠 퍼가지마세요 ...
햄스터 초보자를 위한 햄사전-건강편
기사
l
20191215
보세요. 햄스터는 보통 하루에 1~2번 주세요. 밥통이 가득 차지 않게 주어야 해요. 햄스터들은 배가 고프면 알아서 먹고, 볼주머니에
저장
해 놓고 먹기 때문에 한번에 많이 주고 3~5일에 한 번 씩 주어도 되요. 하지만 너무 많이 주지는 마세요. 해바라기 씨를 많이 먹어도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먹이 종류 하루 2~3번 정도 이만 ...
오랜만
포스팅
l
20191129
폰그림 그림
저장
ㄴ ...
에버랜드 동물사랑단 활동 - [어떻게 프레리독은 몸이 작고 기린은 몸이 클까요?]
기사
l
20191119
번째는 바로 색물 세포에만 있는 '액포'이다. 액포는 동물 세포에는 없다. 액포가 하는 일은 수분이 부족할 때를 대비해서 물을 조금씩
저장
해 두는 것이다. 다음으로 다른 것은 엽록체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엽록체에는 엽록소라는 색소가 있다. 이 색소는 초록색을 띄고 있어서 나뭇잎이 초록색인 것이다. 마지막 차이점은 세 ...
스컹크
기사
l
20191115
가스)는 사람의 방귀처럼 소화과정에서 생긴 가스가 아니고 황금빛 액체랍니다. 스컹크는 이 액체를 항문 안에 있는 두 개의 항문샘에
저장
해 두었다가 위험할 때 내어뿜습니다. 성분이 방귀와 비슷해서 아주 지독한 냄새가 나는데 얼마나 독하냐면 1km까지 냄새가 퍼진답니다. 또 눈물나게 하는 성분도 들어있어서 액체가 눈에 들어가면 한참동안 눈을 뜨지 ...
교실의 미래, 클래스팅으로 놀러오세요! - 클래스팅 탐방, 인터뷰 여행 -
기사
l
20191114
우선 위워크 빌딩은 매우 많은 사람들이 오가므로 신원 확인을 위해 1층에서 신분 확인(방문자의 이름과 얼굴 사진을 찍어 컴퓨터에
저장
합니다.)을 하였습니다. 이 점이 신기하고 재미있기도 했습니다. 클래스팅은 위워크 선릉역2호점 18층 전체를 다 사용했습니다. 그래서인지 넓은 공간이 눈에 띄였습니다. 18층 입구에 들어가면 클래스팅 직원 ...
<이노마드 우노>로 수력 발전에 대해 배우다.
기사
l
20191019
이노마드 우노>는 휴대용 수력 발전기로 크기는 텀블러 크기입니다. 수력 발전을 이용하여 완전히 충전하였을 때 5600mA[밀리암페아]가
저장
됩니다. 이 전기의 양은 일반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한 양입니다. 1시간에 5W[와트]가 충전 가능하며 완저히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4시간이라고 합니다. 겨우 5W[와트]? 하시는 분도 계실겁니다. 1 ...
수력을 활용한 휴대용 전기 발전기 이노마드-우노에 대하여
기사
l
20191013
수력을 이용한 휴대용 발전기와 배터리입니다.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연결된 터빈이 전기를 생성하고 만들어진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
하게 됩니다. 전기를 충전하는데 5~6시간정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발전을 위해서는 프로펠러가 잠길정도의 수위와 1.0m/s ~ 1.2m/s의 물의 속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프로펠러가 물에 잠기지 않으면 회전이 잘 ...
국립 수목원 귀화식물
기사
l
20191007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의 잎은 방수의 효과를 가진 식물이 많고 열대 기후의 식물은 잎은 작아지고 식물 몸속에 물을 많이
저장
할 수 있게 생겼습니다. 이렇듯 식물도 살기 위해 적응하며 조금씩 진화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열대 기후의 잎을 만져보니 평소 주변에서 보던 잎과 느낌이 달랐습니다. 오후에는 국립 수목원 밖의 환경에서 살고 있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