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5,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 비밀 모임서 AI 수학 실력 테스트 결과에 '경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인공지능(AI)이 수학자들도 풀기 어려운 수학 난제를 해결하는 정확도와 속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어 전 세계 수학자들이 경악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이 수학자들도 풀기 어려운 수학 난제를 해결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도가 높아지고 있어 전 세계 수학자들이 경악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은 더위를 어떻게 견딜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에 햇빛을 받은 식물 잎의 온도를 적외선 영상으로 포착한 이미지를 실었다. 호주 열대우림에 자생하는 나무의 잎들이 고온에 노출돼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나타나는 모습이다. 노란색은 더 뜨거운 부분을 보라색은 상대적으로 서늘 ... ...
국회에 선 기초과학자 2229명의 목소리…"연구실 사라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4
연도별 기존 과제 지원 규모와 연구 수행 의지 인력 수. 과기정통부 제공 기초과학 연구자 2229명이 새 정부에 기초과학 연구생태계 복원을 촉구해달라는 절박한 심정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국내 기초과학 관련 학회의 협의체인 ‘기초과학 학회협의체(기과협)'는 14일 국회의사당 본청 앞 ... ...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촬영팀이 내는 소리다. 주저앉는 사람들을 보고 정신없이 웃다 발 아래를 보니 이미
기자
의 장화도 갯벌 깊숙이 빠져든 상태였다. 모두가 절박한 심정으로 서 연구원을 부르자 그가 조언했다. "더 깊이 빠지지 않으려면 한 발이 빠지기 전에 다른 발을 디디면 됩니다! 가만히 있을수록 더 깊이 ... ...
화성에서 눈으로 오로라를 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14
화성에서 관측한 녹색 빛 오로라. NASA/JPL-Caltech/Cornell Univ/Arizona State Univ/E. W. Knutsen 제공 5월 14일 노르웨이 오슬로대 우주센서 및 시스템 센터 연구팀은 화성에서 카메라로 오로라 현상을 포착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뿜어낸 고에너지 입자가 행성의 자기장에 이끌려 오다가 행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컴퓨터로 만든 '마스크' 덧씌워 유화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6.14
nature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손상된 유화를 복원하는 모습이 액자에 담겨 실렸다. 왼쪽 위에는 원본 그림에서 복원이 필요한 부분이 유형에 따라 다양한 색깔로 표시됐다. 오른쪽 아래로는 디지털 기술로 만든 '마스크'를 덧입혀 복원된 그림이 보인다. 알렉스 카치킨 미국 매사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싱크홀. 과학동아 제공 서울 강남 한복판 8차선 도로를 집어삼킨 커다란 구멍. 그 아래로 철근과 토사가 맥없이 드러나 있다. 마치 재난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이 모습은 인공지능(AI)으로 만든 가상의 이미지다. 그럼에도 최근 연이어 터지는 대규모 싱크홀(땅꺼짐) 소식을 접하다보면 영화 속 가상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한국천문연구원 로고. 천문연 제공 ■ 한국천문연구원은 9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25 기록의 날 행사에서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주관하는 국가기록관리 유공 포상은 기록관리 발전과 기록문화 확산에 기여한 기관과 단체를 발굴 ... ...
[과기원NOW] KAIST,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고해상도 분광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왼쪽부터 장무석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이동구 박사과정생, 송국호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 KAIST는 장무석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중층 무질서 메타표면을 이용한 초소형 분광기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 ...
[동물do감] 새들은 왜 새벽에 울까…자리 싸움과 먹이 정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조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새들이 새벽에 더 활발하게 지저귀는 이유는 바람이나 온도 같은 환경 요인이 아닌 영역, 먹잇감 정보와 같은 사회적 요인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류의 울음 습성을 환경적 요인에서 찾았던 기존 이론과 상반되는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