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뉴스
"
꿈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앞을 총총! 아마존 체험기
2018.08.11
그들만의 천국으로 남겨두면 안 되는 것일까. 인간이 아닌 그들만의 안녕을
꿈
꾸며 나의 작은 바람을 빌어본다. ※필자소개 전종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동 및 집단 생태학 실험실에서 양서파충류를 연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2월 초까지 6주간 아마존 열대우림의 생태보전을 위한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양자 큐비트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9
양자얽힘 현상이 일어나 양자컴퓨터용 큐비트를 만들수 있다.-University of California 제공
꿈
의 물질이라 불리는 육각형의 2차원 나노탄소물질 그래핀(Graphene)으로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를 만들 수 없을까? 그래핀을 폭이 좁은 띠 모양으로 만든 것을 나노리본이라 부르는데, 최근 이를 이용하면 ... ...
“좋은 학술지 논문의 조건이요? 새로움과 진보, 사회에 대한 공헌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있다. 보는 눈도 많고 다들 자기 분야에 일가견이 있는 석학이다 보니 대충 일하는 것은
꿈
도 못 꾼다고. 그는 “불과 얼마 전에 우리 연구팀이 낸 논문도 퇴짜를 맞았다”며 “논문 게재에 있어서는 정말 혹독하다(tough)”고 강조했다. 각각 인터뷰 중인 두 편집장. -사진 제공 윤신영 마지막으로 ... ...
쿠르드 출신 수학자 ‘도둑 맞은 필즈 메달’ 다시 받았다
2018.08.06
부모와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는 엔지니어인 형으로부터 수학을 배우며 수학자의
꿈
을 키웠다. 영국에 정착하면서부터 쓰기 시작한 현재 그의 이름은 쿠르드어로 ‘이민자 수학자’라는 뜻이다. 그는 “어려운 쿠르드 역사에서 배운 게 있다면 작은 일에 일일이 실망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 ...
어리다고 얕보지 마라...키즈 크리에이터 마이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03
있나? 크리에이터 활동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꿈
을 발견해 나가고 싶다. 그래서 아직
꿈
은 없지만 목표가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구독자 100만 명을 확보하는 게 목표이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많이 사랑해 주시고, ‘마이린TV’도 많이 사랑해 달라! 어과동의 ... ...
이차원 반도체 상용화 걸림돌, 전류 증폭 현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30
연구진이 ‘
꿈
의 소재’ 그래핀을 비롯한 이차원 반도체 물질에 흐르는 전류가 특정 전압에서 비정상적으로 증폭되는 현상의 원인을 처음으로 찾았다. 초박막 웨어러블 기기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이차원 반도체 소자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정승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방탄소년단의 세계에는 수학이 꼭 필요해
수학동아
l
2018.07.28
제공 최근 출시된 앨범 ‘Fake Love’에서 소년들은 현실 세계의 허상과 자신이
꿈
꾸는 행복과의 괴리를 노래했다. 그들이 원하는 진짜 세계는 무엇일까? 가짜가 아닌 사랑이란 어떤 것일까. 방탄소년단의 질문도 ‘Love Yourself’ 시리즈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궁금하다면 다음 앨범 ‘結’에 주목하자. ... ...
文 대통령 “혁신성장 갈림길, 성공은 R&D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정부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과학기술 강국은 우리의 오랜
꿈
”이라며 “국가 발전의 근본이자 기초체력이라 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 ...
휘는 디스플레이에 군용방탄복까지...'
꿈
의그래핀' 상용화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7.20
유연하면서 철보다 단단하다. 2004년 등장해
꿈
의 소재란 별칭을 얻은 벌집모양의 육각형 2차원 나노탄소물질, 그래핀의 특성이다. 차세대 물질로 각광받았지만, 대량생산하기가 까다로워 실제 생활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돌파구가 열리고 있다. 최근 국내외 기업과 의료진이 ... ...
[별별 필즈상 이야기] 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수가 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뒤였다. 결국 완성된 논문은 앤드루 와일스가 41세 되던 이듬해 출판됐다. 평생의
꿈
인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한 것에 만족하며 아쉬움을 달래던 앤드루 와일스는 1998년 뜻밖의 기쁜 소식을 듣게 된다. 국제수학연맹에서 그를 위해 특별 공로상과 기념 은판을 제작해 주기로 한 것이다. *출처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