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2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진행했다(Lam et al., 2020). 연구진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단백질과 각 종별 ACE2
수용
체의 결합 안정성을 토대로 감염 위험을 평가했다. 215종 동물의 평균 결합 에너지 변화(ΔΔG)는 3.88이고, 이보다 작으면 감염 위험이 있다고 보는 방식이다. 이후 연구진은 사람과 접촉 가능성이 높은 ... ...
[동일본대지진 10년]원자력 정책 얼마나 투명해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역할을 하고 있지만 새롭게 원자력 기술을 개발하고 원전을 구축하려는 국가들에 대중
수용
성에 기반한 접근을 제안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저자들은 “전세계 많은 국가들에서 원자력이 광범위한 국가에너지 정책에 부합하는지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기술과 위험성이라는 입체적인 관점에 ... ...
움직이는 중환자실 중증응급환자 구급차 늘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의한 이송 중 모니터링 및 처리가 사망률 감소 기여의 원인으로 꼽힌다”며 “
수용
병원에 대한 환자의 임상적 상황과 투여 약물에 대한 체계적 인계도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건 전문가들은 서울 외 지역에서도 응급 중증환자 이송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9년 12월 공개한 ... ...
어린 연령층 감염률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이 덜 되는 것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와 결합되는 ACE2
수용
체 숫자가 어른보다 아이들이 적기 때문으로 추정해왔다. 변이 바이러스가 숙주의 호흡기 세포에 더 쉽게 붙도록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변이 확산은 이미 국내에선 현실화하고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수용
체(ACE2)에 결합하면서 체내에 침투한다. 스토웰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
수용
체 결합 도메인(RBD)’이 A와 B, O형 혈액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실험했다. 그 결과 RBD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A형 혈액에 더 잘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단백질의 ... ...
미생물에 광나노입자 붙여 이산화탄소 화학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인공광합성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광 나노입자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용
할 수 있는 인공미생물 개발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진상락 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현재 바이오아카이브에 올라와 있다(Kim et al., 2020). 최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체내
수용
체인 ACE2와 TMPRSS2가 폐보다 코를 포함하는 상기도 상피세포에 많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됐다(Sungnak et al., 2020; Hou et al., 2020). 이들 연구결과는 코로나19 감염 초기 상기도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 ... ...
이광형 KAIST 총장 "포스트AI 대비한 KAIST의 신문화 전략은 QA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문화적 장벽이 낮은 글로벌 캠퍼스를 구축하고 연구실마다 1명 이상 외국이 학생을
수용
하는 1랩(연구실) 1외국인 학생 운동이 제시됐다. 미국의 보스턴과 실리콘밸리 등 세계 주요 연구거점 지역에 교수와 학생, 연구원을 파견하고 해외 우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로 활용하는 ‘해외 국제캠퍼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세포막에 있는 일부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비교한 결과 ‘시스테인이 풍부한 스캐빈저
수용
체(SRC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GATA6+대식세포가 여러 상처를 봉합하는 과정에서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착은 분리돼 있어야 할 두 조직이 연결되는 현상으로 ... ...
낯선 아저씨 비행기 태워주는 남자
팝뉴스
l
2021.03.06
했다고 한다. 자신도 태워달라는 것이었다. 이 황당한 낯선 사람의 부탁을 기꺼이
수용
한다. 딸 대신 다큰 어른을 비행기 태워준 것이다. 사진은 아주 코믹한 상황을 포착했다. 사람의 마음에 장벽이나 스스럼이 없는 것 같아서 보기 좋다고 말하는 네티즌도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