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안정하기"(으)로 총 5,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7
- 청색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paCas13 시스템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허원도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리보핵산(RNA) 유전자가위 기술(CRISPR/Cas13) 활성을 화학 유전학 및 광유전학으로 조절해 시공간적으로 표적 RNA 염기를 편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조가 알려 ... ...
- 새로운 자성 발견 임박…컴퓨터 메모리 혁신 가져올까동아사이언스 l2024.02.07
- 자성을 가진 자석. 자성은 쇳조각을 끌어당기거나 전류에 작용을 미치는 성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새로운 종류의 자성을 발견하는 데 임박했다. 지금까지 없었던 자성임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적인 증거를 마련하는 과정만 남았다. 이번에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자성은 강자성과 반강 ... ...
- 소방관 약 절반은 출동 벨소리만 들어도 트라우마 겪어동아사이언스 l2024.02.07
- 트라우마가 있는 소방관은 트라우마 전문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제공. 최근 공장 화재로 소방관 2명이 순직한 가운데 소방관의 절반 가량이 출동 벨소리만 들어도 심장이 쿵쿵대는 등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의 정신 건강 관리가 시급하다는 ...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6
- 역방향 알루 반복 구조로 인한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암 등 종양 형성과 퇴행성 뇌질환 등 메신저리보핵산(mRNA)이 변화하는 다양한 질환에서 '역방향 알루 반복 구조(IRAlus)'라는 새로운 발병 원인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질환 특이적으로 mRNA가 변화하 ... ...
- [의대 증원] 이공계 인재 의대 쏠림 우려 커져…대책은 있나동아사이언스 l2024.02.06
- 연구실에서 실험 중인 학생 연구원들.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내년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000명 늘리는 방안을 발표하면서 과학기술계가 덩달아 긴장하고 있다. 기존에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던 '이공계 이탈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란 이야기다. 안정적인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 ... ...
- "지구 온도, 10여년 전 이미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동아사이언스 l2024.02.06
- 카리브해 전경. SeanPavonePhot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이미 1.5℃ 이상 상승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향후 몇 년 내에 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말콤 맥컬록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해양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10여년 전인 2010~2012년에 이미 ... ...
- [사이언스게시판] 고등과학원, '시민과 함께 과학' 프로그램 시작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5
- (왼쪽부터) 나선 은하, 타원 은하, 불규칙 은하. ESA/Hubble & NASA 제공. ■ 고등과학원은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시민과 함께 과학’ 프로그램을 5일 시작했다. 시민들이 과학 연구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해 자료 생성, 분석 작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준환·이존화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4.02.05
- 김준환 제주대 수산생명의학과 교수(왼쪽)와 이존화 전북대 수의과대 교수. 과기한림원 제공. 김준환 제주대 수산생명의학과 교수와 이존화 전북대 수의과대 교수가 ‘제8회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카길애그리퓨리나 문화재단은 농·수·축산학 분야 ... ...
-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2
- 2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왼쪽부터 KAIST 송준기 석박사통합과정생, 이수연 석사과정생. ■ KAIST는 이가영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양극성 반도체 특성을 가진 2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의 다기능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기존 실리콘 ...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4.02.01
- 파킨슨 쥐는 운동장애가 있어 움직임이 적다. 나노-자기유전학 DBS 치료를 받은 파킨슨 쥐는 정상 쥐와 비슷한 수준의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IBS 제공. 두개골을 뚫는 수술 대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치료법이 제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천진우 나노의학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