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언
뉴스
"
의견제시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답 오류 논란이 올해도 불거졌다. 논란의 중심에는 과학탐구 생명과학Ⅱ의 8번 문제가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설한 ‘2015학년도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 게시판’에는 이 문제와 정답에 대한 이의 제기 글이 403건이나 올 ... ...
국가 R&D 혁신 통해 사업화 해법 찾는다
2014.11.14
13일 서울 서초구 바우뫼로 더케이호텔서울에는 국가 R&D의 문제점과 돌파구를 찾기 위한 대토론회가 열렸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우수 성과라는 ‘전반전’뿐만 아니라 사업화라는 ‘후반전’에도 이겨야 진정한 승리라 할 수 있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으로 13일 서울 서초구 바 ... ...
베이글로 배우는 위상동형!
2014.11.10
수학동아클리닉에 참여한 학생들이 베이글을 자르며 위상수학을 체험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지난 8일, '생활 속 위상수학'을 주제로 수학동아 클리닉 가을학기 세 번째 수업이 열렸다. 김상미 춘천교대 수학교육과 인간이 가진 시각의 한계에 관한 이야기로 이날 수업을 시작했다.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공청회 外
2014.10.06
■ KAIST 미래전략대학원은 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광복 100주년이 되는 2045년까지 국가 번영을 위해 현재 세대가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자리다. 공청회에는 KAIST 교수 5명 등 미래학 전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공청회가 오늘(12일) 열립니다. 교육계의 주요 이슈임을 반영하듯 교사와 전문가 등 무려 7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고교의 경우 사회 과목은 ‘통합사회’로, 과학 과목은 ‘통합과학’으로 개편되고 한국사는 6단위(1단위는 한 ... ...
알츠하이머병 센서는 3년, 5G는 5년 뒤 개발
과학동아
l
2014.07.30
30일 미래창조과학부 브리핑실에서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이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기관별 임무정립안과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융합클러스터, 프로젝트 연구단 운영으로 출연연 사이의 벽을 허물 것입니다.” 이상천 국가과학 ... ...
STAP 세포, 결국 헤프닝으로 끝났다
과학동아
l
2014.07.03
‘제3의 만능세포’로 불리며 전 세계 과학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던 ‘STAP(자극야기 다능성 획득) 세포’가 결국 4개월 여 만에 모든 논문 철회가 결정됐다.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는 STAP 세포 논문의 제 1저자인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晴子) 연구주임을 비롯한 주요 저자들의 논문 철 ... ...
‘과학’ 사라질까 두려운 출연연
과학동아
l
2014.06.19
정부의 정책기조인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대덕연구단지 연구자들에게는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이라 숙제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기사 내용과 사진은 관계 없음)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은 공공 연구조직이자 정부조직이다. 최근 정부가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을 ... ...
과학 수업 줄어드는데 과학적 소양 키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2014.06.18
교육부가 마련한 문·이과 통합과학 교육 과정에 대해 올바른 개정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일 서울교육대에서 ‘통합 과학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열고 과학계와 교육계 전문가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날 송진웅 서울대 물리교육과 교수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만일 암흑물질이 2030년에도 발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면,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중력이론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마리오 리비오 & 조 실크, 3월 6일자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멋진 제목에 혹해서 (속는 셈치고) 산 책이 막상 읽어보니 내용도 좋으면 마음이 뿌듯하기 마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