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웃
근처
부근
근방
인근처
인접
이웃집
뉴스
"
인근
"(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기온 상승폭은 지구 평균의 2배가 넘습니다. 제가 처음 다산과학기지에 간 2003년 이후
인근
빙하는 200m나 녹아 후퇴했어요. 영구동토층이 녹으며 해안선이 무너져 내린 곳도 있고, 대기중의 이산화탄소가 녹으며 해양이 산성화돼 플랑크톤이 사라지고 먹이사슬이 흔들린 곳도 있습니다. 이런 변화가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떨어져 있어 실효성이 없다는 반론도 있다. 최근에는 닥터헬기를 운영하는 병원의
인근
주민들이 100데시벨이 넘는 헬기 소리에 집단 민원을 넣기도 했다.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가 닥터헬기의 소리는 소음이 아니라 생명이라는 콘셉트로 릴레이 캠페인을 시작한 이유다. 이미 의약품이나 ... ...
포항시 강소특구 지정 환영…포항공대 중심 신산업 육성 기대
연합뉴스
l
2019.06.20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성장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기술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을 배후공간으로 지정한다. 포항시는 국내 최고 수준 연구 역량을 갖춘 포항공과대(POSTECH·포스텍)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리스트)을 기술핵심기관으로 내세웠다. 또 기술을 사업화하고 생산시설이 ... ...
월성원전 4호기 정상 가동 허용… 한빛 1호기 정지 이후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보강한 방수 코팅막이다. 손상 부위를 보수해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저장조 외부와
인근
지하수를 점검해 외부 환경으로 영향이 없음도 확인했다. 격납건물 내부 구조물과 외벽 관통부 전수조사에서는 내부 구조물에서 밀봉재 3개가 손상됐고 1개가 누락됐음이 확인돼 보수했다. 원자로 ... ...
환경부 "인천 수돗물 사태원인은 무리한 관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원수를 공급하는 풍납취수장과 성산가압장이 전기점검으로 가동이 중지되어
인근
수산∙남동정수장 정수를 수계전환해 대체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조사반은 이 과정에서 인천시가 사전 대비 및 초동 대처에 미흡했다고 질타했다. 국가건설기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르면 상수도 ... ...
무인기까지 동원한 인공강우 실험 '가능성만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비를 내리게 할 구름씨 살포후 구름입자 크기와 구름이 커졌고 당일 실험 지역과 그
인근
에서 비가 내렸지만 자연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확실한 인공강우 결과인지 확인하는데 한계를 드러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무인기 협업을 통한 ... ...
"얼룩말 줄무늬는 체온조절용"…서식지서 첫 실증 연구
연합뉴스
l
2019.06.16
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얼룩말의 줄무늬가 체온조절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적도
인근
더운 곳에 서식하는 얼룩말일수록 줄무늬가 선명하다는 연구 등을 통해 이미 제기된 바 있으나, 이후로도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위장용이나 얼룩말끼리의 친교, 물것 퇴치용 등 다양한 학설이 제기돼왔다. ... ...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첫 발병...정부 "접경지역 방역 강화해 차단 총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소독의 날’을 운영해 농가를 집중 소독하기로 했다. 향후 북한 내 전염병이 접경지역
인근
까지 확산되면 접경지역 출하 도축장 지정, 돼지 이동제한 등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야생멧돼지 차단 조치도 확대된다. 아시아 지역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지며 올해 강화했던 차단 조치를 더욱 ... ...
KAIST 문지캠퍼스 입주기업사무실에서 새벽에 불…인명피해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규모로 확산됐다. 사고가 난 사무실에는 당시 근무자가 없었지만, 해당 기업 대표가
인근
408호실에서 업무 중이었고, 바로 옆 407호에도 다른 입주기업인이 근무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 직후 이들과 대학 방재실 근무자는 사고를 인지하고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하는 한편, KAIST ... ...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똑같은 규모의 지진이 나도 인구가 거의 없는 지역과 대도시
인근
은 피해가 다르기 때문에 영향을 받는 사람을 고려한 개념인 ‘위해(risk)’로 지진 발생 가능성을 재평가하자는 것이다. 다만 이 단장은 “포항 지진이 지열발전을 통해 촉발됐다는 결론이 모든 지열발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