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작업일"(으)로 총 8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동아사이언스 l2012.01.24
- “연구소는 기업을 도우라고 있는 겁니다. 민간기업이 직접 진행하기 어려운 값비싼 독성평가 연구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겠습니다. 기업들이 싼 값에 고품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 해 12월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안 ...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1.09.05
- “생명공학 분야의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좁혀가기 위해 국내 생명공학 연구진의 인력과 전공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갈 생각입니다.” 5일 서울시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석 생명복지조정과 과장은 릴레이 회의로 수척 ... ...
- “연구과제비 산정, ‘달러’로 국제화 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11.09
- “정권 바뀔 때마다 과학자들이 왜 걱정을 해야 합니까. 미국은 부시든, 오바마든 누가 집권해도 과학자가 흔들릴 일은 거의 없습니다.” 백융기 국제인간프로테옴기구(HUPO) 회장은 한국의 과학정책이 큰 기조를 꾸준히 유지해 과학자가 더욱 연구에 전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생명과 ...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2010.05.25
- “수목에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추출한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오디에서 추출한 물질은 피부 세포 신장효과가 있습니다. 또 헛개나무 성분은 임상 실험을 해보니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더군요.” 정광수 산림청장(57)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사례를 들면 ...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2010.04.28
- “한국 바이오 기업의 연구역량을 선진국과 비교하면 80점쯤 될 겁니다. 그러나 사업화 역량은 30점에 불과합니다.” 대우증권 기업분석부에서 제약 및 바이오 분야의 애널리스트로 활약하고 있는 권재현 과장을 26일 만났다. 권 과장은 “한국 바이오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2010.04.13
- “연구개발(R&D)이 목적대로 되지 않았다고 해서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말았으면 합니다.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면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역발상은 실패를 성공으로, 위기를 기회로 바꿔준다고 확신합니다.” LG생명과학 김인철(59) 사장은 최근 5~10년간 세계적으로 바이오산업이 한 ...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2009.09.29
- 이상민 의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민주주의란 서로 ‘합의’하는 것입니다. 토론하고 논의해 합당하면서도 통일된 의견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올바른 생명공학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와 국회는 물론, 과학기술자들도 서로 ‘이야기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 ...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2009.07.28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현병환 센터장. 전승민 동아사이언스기자enhanced@donga.com “기술을 판매할 수 있는 전문 전담조직만 있다면 한국 생명과학계의 기술료 수익은 몇 배로 커질 겁니다.” 투자유치를 바라는 벤처기업 사장의 말이 아니다. 공공연구기관의 생명공학(BT)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책서 ...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2009.06.16
- 신영근 베이커스 회장은 “한국 생명과학계가 발전하려면 사업화 역량에 대한 정부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Φ“제넨테크의 총 매출은 한국의 삼성전자에 필적합니다. 항암제 한 가지만 팔면서 낸 매출이니 그 규모는 짐작이 갈 것입니다. 이런 ...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2009.03.25
- 1998년 시행된 뇌연구촉진법 가운데 1단계인 초기 10년 계획이 지난해 끝났다. 올해부터 한국뇌연구원 설립을 위한 2단계 계획이 시작되지만 정권 교체와 경기 침체가 맞물려 시행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선 ‘소(小)우주’라 불리는 뇌 융합 연구가 한창 주가를 높이고 있지만 국내 ... ...
이전8081828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