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7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귀속돼 아프리카는 결과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왔다. H3아프리카 컨소시엄은 ‘
학술
식민주의’라고 부르는 아프리카 유전체학을 아프리카에 돌려주기 위해 결성됐다. 10년간 1억 5000만 달러를 들여 12개 아프리카 국가와 기관의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NIH와 영국의 의료비영리재단인 ... ...
[프리미엄 리포트] 코로나시대 전세계 마스크 쓰레기 매월 1290억개...해결 방법은
과학동아
l
2020.10.31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된다. 미국 워싱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7월 23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관리, 재활용 등을 시행하면 204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을 2016년 대비 4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 ...
항암제 치료 효과 사람마다 왜 달라...AI로 효과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선별해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30일자에 실렸다. 머신러닝 기술로 암세포의 전사체를 분석해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다. 하지만 항암제와 관련된 전사체뿐 아니라 암세포에 있는 ... ...
단백질 접는 '스위치'로 다양한 나노 건축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최명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미세소관을 구성하는 ‘튜불린’ 단백질을 나노 소재 기초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원자력연구원, KAIST 지원을 받아 이뤄진 연구는 지난달 17일 국제
학술
지 ‘스몰’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KAIST 제공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3D 시각화 성공
2020.10.30
장비를 사용해 ‘CV30’의 분자 구조를 시각화했다. 이 결과는 27일(현지시간) 온라인
학술
저널인 에 게재됐다. 컴퓨터를 통해 3D 이미지로 구현된 CV30의 분자구조는 일반인의 눈에 그저 국수 면발 덩어리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과학자의 눈에 이 ‘국수 덩어리’는 ... ...
K팝·K방역 훨씬 앞서 최초의 'K모델' 만든 과학자 최형섭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는 세계적 공학
학술
행사인 국제전기전자
학술
대회를 개최하며 공학 분야에 적극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KIST 제공 최 박사는 이후 1971년 제2대 과기처 장관을 맡으면서 정부의 과학행정 및 정책 분야 기틀도 다졌다. 또 대학의 기초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과학재단(현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고인류 두개골 화석에서 시료를 채취해 게놈을 해독하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9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몽골에서 발굴된 독특한 화석, 국내 연구자 주도로 구체적 연구 시작 살킷 화석은 2006년 몽골에서 발굴된 고인류화석이다. 몽골에서 나온 유일한 ... ...
코로나19 바이러스 안에 백신 면역보조제 돕는 물질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RBD)를 면역보조제와 함께 사용하면 항체 생성률이 훨씬 높다는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28일자에 발표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부위(RBD)가 인체 세포 표면에 달라붙으며 ... ...
속도 빠르고 안전한 양자 인터넷 구현에 필요한 양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신뢰도가 최대 81%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12월 열리는 유럽 광학 및 광통신 분야
학술
대회인 ECOC 2020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를 이끈 주정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자광학연구실장은 “국내 반도체 산업의 강점을 활용해 양자 인터넷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하고 ... ...
혜성 위 굴렀던 탐사선 "혜성 표면 카푸치노 거품처럼 부드러워"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발표했다. 로런스 오로크 ESA 유럽우주천문센터 연구원이 주도한 연구결과는 같은 날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실렸다. 필레는 ESA가 개발한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로봇이다. 2004년 무인 탐사선 ‘로제타’호에 실려 발사된 후 10년간 8억 km를 날아가 67P 혜성에 도착했다. 지름 4km 크기의 67P 혜성은 4 ... ...
이전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