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08
따듯한 열기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아늑하고 서늘한 침실에서는 옆에 누워 있는
사람
의 몸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느낄 수 있다.전도는 주위의 사물과 몸이 닿을 때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둘 사이의 온도차가 크고 열전도도가 큰 물질일수록 열의 이동이 활발하다. 한겨울에 차가운 시멘트 바닥에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08
만들어져 매장되면 누구나 오시리스처럼 부활할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오시리스 신화는
사람
이 죽어도 저승에서 몸과 영혼이 재결합해 영생을 누릴 수 있게 되기를 갈망했던 이집트인들의 내세관이 만들어낸 한편의 흥미진진한 드라마이다.미라는 어떻게 만들었을까고대 이집트에서 미라를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08
거의 없었다. 네안데르탈인은 불을 사용할 줄 알았는데도 말이다. 연구팀은 그들이
사람
이나 사슴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으리라고 추측했다.그러나 화이트 박사는 “모든 네안데르탈인이 식인종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 중에 식인종이 있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인류에게 정말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08
두
사람
A와 B가 암호문을 만드는데 필요한 암호키를 양자암호로 만든다고 하자. 이때 두
사람
이 암호키를 교환하려는 과정에 해커가 정보를 빼내려는 상황을 가정해볼 수 있다. 정보를 알아내는 것은 측정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해킹에 의한 정보의 확인은 양자상태에 대한 측정이다. 그런데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08
인류의 미래를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과학자 중 가장 극단적이며 유명한
사람
은 시어도어 카진스키다. 카진스키는 하버드 출신의 천재 수학자로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로 인해 인류의 문명이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경고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첨단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 ...
고갯짓이 판단에 영향 미친다
과학동아
l
200308
나타났다.예상과 다른 결과에 대해 페티 박사와 브리뇰 박사는“끄덕이는 고갯짓이
사람
을 좀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들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에 확신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고개를 끄덕이는 행동이 긍정이나 부정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기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08
광자 또는 입자가 가진 에너지가 매우 높아 생체는 방사선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가진다
사람
을 비롯하여 포유류의 반치사선량(半致死線量 ; 피폭자의 반이 사망할 가능성이 있는 선량)은 수백 래드(rd)이며 열량으로 환산하면 흡수조직 1g당 0001~0002cal에 불과하다이에 비해 방사선 생물학자들에게는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08
형성된 직후에는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된다. 언뜻 보기에는 모래를 채취하기 위해 마치
사람
이 일부러 파놓은 것 같다.60cm 모래 뚫고 싹틔우는 통보리사초사막사구에서는 선인장처럼 건조한 환경에 강한 식물이 자란다. 이와 달리 온대지역의 사구는 강수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식물이 자랄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08
물체를 직접 분간하기 어렵다. 대신 박쥐는 입으로부터 초음파를 발사한다. 주파수는
사람
이 들을 수 없는 30-1백50kHz 정도다. 내보낸 초음파가 물체에 닿아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통해 물체를 감지해낸다.햄스터와 같은 야행성 동물은 시력이 매우 나쁘다. 수십cm 정도의 거리에 있는 물체를 겨우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08
하는데 김 교수는 오히려 반대다. 연구가 편하다고 한다. 그래서 노는쪽이 아니라 연구쪽
사람
과의 교류가 활발하다.지금 그가 선택한 일상에서의 탈피는 걷기다. 걷는 동안 연구할 때와는 반대로 생각은 멈추고 몸을 움직인다. 그래서 새로운 연구에너지를 충전시키는 것이다. 앞으로도 그가 보여줄 ... ...
이전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