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연구와 기업의 중간 형태로 선급협회에서 일할 수도 있습니다. 선급협회는 상선의 등급을 매기고 선박의 자격을 심사하는 세계적인 항만회사들의 모임입니다. 조선해양공학과 출신만이 일할 수 있는 곳입니다. Q 김하람(동래여고 1학년)저는 평소에 해저도시에 관심이 많습니다. 언제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 여기에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면서 다양성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 ...
- [과학뉴스] 시리아 내전, 세계문화유산 5곳 파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확인했다. 4000년 전 초기 인류의 거주지인 알레포, 고대도시 보스라, 고고학 유적 팔미라 등이 모두 주변 도시나 마을과 함께 부서지거나 무너졌다. AAAS가 공개한 화상을 보면, 흔적조차 사라진 곳도 다수다.프로젝트 책임자인 수잔 볼핀바게르 단장은 “미래 세대를 위해 문화 유적의 파괴를 막아야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빈 공간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카이퍼벨트 소천체들은 지금은 교과서나 과학책에 흔하게 등장해,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들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머릿속에만 있었던 가설 상의 존재였다. 1992년에야 처음으로 지상에서 관측에 성공해 그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어떻게 대응하며 살고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 한세종 박사(hansj@kopri.re.kr)| 극지 등 극한 환경의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1999년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4차 월동연구대로 참여했고,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박쥐는 에볼라뿐 아니라 수많은 사람을 죽였던 마르 부르크, 헨드라, 매냉글, 니파, 사스 등 위험한 바이러 스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과일박쥐과(Pteropodidae )에 속한 44속 173종은 유독 영장류에게 전염력이 높다. 과일이라는 먹이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헤이만 연구팀은 과일박쥐 무리가 새끼를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가왔다. 민간 우주선이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마지막 문턱만 넘는다면 SF에나 등장하던 우주관광은 곧 현실이 될 것이다. 이젠 시간 문제다. 우주를 향한 ‘민간인’의 열망은 오늘도 뜨겁다 ... ...
- 진짜 똑똑한 스마트폰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구글의 ‘프로젝트 아라’는 배터리나 카메라 등의 부품을 원하는 것으로 갈아 끼울 수 있는 조립식 스마트폰이다. 새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대신 사용자는 간단한 방법으로 최신 부품을 쓸 수 있다.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낫기 때문에 이 게임을 만들었다”며 “3차원 뇌지도가 만들어지면 의사결정과 공포 등 정신활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체계적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KT는 이번 제휴로 이 게임의 목표가 1년 안에 달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스마트랩 시리즈에는 앞으로 자외선 측정기, 염도 측정기, pH 측정기, 정전기 측정기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면,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유해 환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이전8498508518528538548558568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