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세계 각국은 인류 역사상 초유의 행사인 인터넷 엑스포를 자신들의 고유문화와 기술수준을 세계에 뽐낼 절호의 기회로 삼고 있다. 현재 참가를 ... 분야를 포괄하는 예술 잡지로, 이 하나 때문이라도 충분히 가볼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약
1백50여개의 다른 예술 사이트와도 링크해 놓았다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백m 사이의 노출된 암반 위에 2-10cm 두께로 형성돼 있다. 태평양의 6천 6백여개의 해저산에
약
2조톤의 망간각 자원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망간각을 구성하는 금속성분은 해수에서 녹아있는 것들이 붙어 생긴다. 성장속도는 1-5mm/1백만년으로 매우 느리다.1980년대 중반 중앙태평양 해저산을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않을 것으로 보인다. 히야쿠타케혜성은 5월 2일 근일점에 도달한다.지구의 공전궤도면
약
67°의 각을 이루고 있는 히야쿠타케혜성은 한동안 극 주위를 도는 주극성이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히야쿠타케혜성은 97년 봄 밤하늘을 장식할 헤일-밥혜성과 더불어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심지어 여러가지 부작용이 복합돼 심리적인 장애가 오는 수도 있다. 따라서 치아를 뽑고
약
1개월 뒤 잇몸이 아물면 인공치아를 심는 일이 필요하다.만일 어금니 1개가 빠지면 먼저 양옆 치아의 전체 부위를 수mm 두께로 깎는다. 그 뒤 금이나 금속으로 3개의 치아모양을 만들어 빠진 치아 부위와 양옆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시간은 불과 1만분의 5초에 지나지 않으며 공과 클럽 면이 접촉한 상태로 나가는 거리는
약
2cm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골프 선수가 가격 후에도 어깨 너머까지 큰 팔로스루(follow through, 라켓을 이용한 구기운동에서 공을 친 후의 라켓 스윙 동작)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배드민턴의 팔로스루는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천길성 사고의 전환을 제시한 KAIST천길성(55) 박사의
약
력은 다른 KAIST졸업생에 비해 특이하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월남전 참전을 포함한 10여년간을 전방에서 현역군인으로 복무하다 KAIST 2기로 입학했다. 그래서 같이 입학한 동기생에 비해 9살 정도 나이가 많은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정도까지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금방 태어난 아기의 뇌는
약
4백-5백g으로 성인 뇌의
약
30%정도의 무게밖에 안된다. 그러나 신경세포(뉴런)의 수는 어른과 같다. 단지 성장함에 따라 신경세포의 크기와 시냅스가지수가 훨씬 복잡해지고 많아질 뿐이다.이러한 시냅스 네트워크의 복잡성과 정교성이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X-3를 추적하고 있다. 대마젤란은하는 우리은하를 공전하는 위성은하이기 때문에 거리가
약
16만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서 비교적 수월하게 추적되고 있다. SMC(소마젤란 은하) X-1 또한 블랙홀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1년이 마치 향수처럼 밀려와 그때 생각에 잠기게 된다.지금도 비슷하지만 제7차 월동대는
약
15명의 연구원들과 기술직 대원들이 남극에서 1년 동안 한식구처럼 살았다. 연구 과제 때문에, 미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리고 경제적 이유 등 대원들이 남극 근무를 지원한 동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러나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필라멘트)나 밝은 점(nots)으로 관측된다.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에서
약
1백53개의 원시행성계 원반(protoplanetary disks)을 찾아냈고, 우주에서 행성계가 만들어지는 것은 흔한 사건임을 알았다. 이들은 언젠가 태양계와 비슷한 행성계로 발전할 것이다. 이 행성계는 1992년 ... ...
이전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