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것이 좋답니다. 너른 공터에 있는 나무를 골라야 새가 고양이를 쉽게 발견하고 도망갈
수
있지요.” 지사탐 대원들은 적당한 장소에 먹이통을 매달았어요. 이후 겨울새 탐사가 시작됐답니다. “이번 탐사를 시작으로 한국에서 겨울새가 어떻게 분포하는지 조사할 거예요. 새를 보기 편한 장소를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Part 3. 블랙홀의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장치를 부착하고, 데이터를
수
집하는 ‘바이오로깅’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요. 작년에는
수
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젠투펭귄이 무리를 지어 사냥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지요. 혼자 헤엄치던 젠투펭귄이 먹이를 발견하고 물속에서 짧고 높은음을 내자 주변의 젠투펭귄들이 몰려오는 모습이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바론-코헨 센터장은 “이번 연구에서 자폐증 환자가 유전적으로 공감 능력이 결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말했다. doi:10.1038/s41398-017-0082-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너라는 기억의 항등성은 전기화학적으로 존재하지 때론 파동처럼,때론 입자처럼 존재하는 빛처럼" 과학동아가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진행하고 있는 과학동아 ... 게 꿈만 같아요. 취미처럼 음악을 만들어왔지만, 과학동아 덕분에 이제 진짜 작사가가 될
수
있다니 흥분되기도 해요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땅이 거의 없다. 고 교
수
는 “학문적인 호기심 차원에서는 충분히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서 “특히 청소년과 일반 대중에게 물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알맞은 소재”라고 밝혔다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그만큼 원자의 집적도를 높여 메모리를 작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최태영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상영된 전 세계 모든 영화를 USB 메모리 한 개 크기의 칩에 담고도 남을 만큼 집적도가 높다”며 “앞으로 메모리 산업은 누가 더 작은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
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머지않은 미래에 의료진은 초인적인 시각과 촉각을 얻게 될 겁니다. 로봇 덕분이죠.” 로봇이
수
술에 사용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의사의 ... 세상을 돕고 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분야”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
술 로봇 분야는 향후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받았고, 이후 컬럼비아대와 코넬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쳐 1998년부터 고등과학원 교
수
로 재임하고 있다. 초끈의 모체라는 M이론의 존재 증명, 다양한 초대칭 솔리톤에 대한 연구, 초끈 이론을 사용한 양자색역학의 연구 등으로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하지만 인간의
수
명이 늘어나고, 사춘기도 길어지는 상황에서 빠른 학습 능력을 계속
수
재의 근거로 삼아야 할지 생각해볼 문제다. 게다가 청년의 기준 역시 점점 늘어나 35세, 심지어 40세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반면 유아기는 10세 무렵에 끝나버린다. 어쩌면 사춘기를 겪고 있는 10대 청소년을 그냥 ... ...
이전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