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 그동안 내 단짝 친구인 박쥐가 모기를 잡아 줘서 내가 모기에 물리지 않았던 거였구나.
난
그런 줄도 모르고 박쥐가 못생기고 밥만 축낸다고 구박했는데….그래! 결심했어! 첨단 무기도 좋지만, 무엇보다 먼저 환경을 보호해서 모기를 잡아먹는 천적들이 살 수 있도록 해 줘야지. 그리고 모기가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보완하다 보니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면서 다른 방법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생겨
난
것 같습니다.그렇지만 과학의 발전이 없다는 것은 사람들이 공부할 필요성도 더 나은 생활을 하기 위한 노력도 생각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같습니다. 자연환경이 주어진 대로 원시 그 자체로 살고 있기 때문에 ... ...
모로코왕궁 침투작전
수학동아
l
201012
잘 알았다. 착한 아이로구나. 하하하. 하지만 다음 번에도 이렇게 몰래 속이려 들면 큰일
난
다. 내 인내심에도 한계가 있거든. 알겠지? 하하하.”허풍과 도형은 바르바리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까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12
9학년 영재를 위한 수업이 따로 있었다. 7명이 전부인 수업에 는 수학실력이 뛰어
난
학생들이 모였다. 영국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어려운 단원을 배운다고 한다. 이날 수업은 우리나라에서도 고등학교 2학년에나 배우는 행렬에 관한 내용이었다.여기서도 영국 수학교육의 특징이 잘 드러났다.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12
오는 서킷에서 엔진의 힘을 조율하지 않고 무리하게 경기를 진행해 과열된 엔진에 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이번 우승으로 알론소는 이전 경기까지 선두를 달리던 레드불팀의 마크 웨버와 세바스티앙 베텔, 맥라렌팀의 루이스 해밀턴을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영암 대회가 끝났을 때만 해도 알론소는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12
“사랑해요”라고 인사를 건넸다. 그러면 센터에서 배운 축의 고유어로 “라
난
님(Rananim, ‘안녕하세요’라는 뜻)”이라 웃으며 답했다. 어느새 우리도 적도의 햇볕에 타서 축 원주민 못지 않게 까맣다.이제 조그마한 축 공항을 뒤로 하고 비행기에 오를 때다. 괌에서 다시 남은 시간을 보낸 뒤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12
길을 가는 게 얼마나 힘든지를 몸소 느꼈다. 그러나 지금부터 다시 시작하면 된다. 그런
난
관을 노력으로 이겨내고 극복하는 것도 하나의 과정이라 생각하며 다시금 자신을 추스르는 게 중요하다. “책은 많이 읽고 있니?” “학교에서 독서는 꾸준히 하고 있어요.” “다양한 책을 읽도록 해. 이공계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흑~. 내가 대한민국의 친구들을 만나러 오느라 얼마나 고생했는지 알겠지? 게다가
난
1년에 알을 하나만 낳을 정도로 번식률이 낮아서 한때 멸종위기에 처했었어. 하지만 지금은 보호를 받아 600마리까지 그 수가 늘어났단다. 멜라네시안 문화가 생생뉴칼레도니아에서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 ...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2010년 2월 9일 시흥에서는 진도 3의 지진이 발생했어. 한국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듣고 정말 무서웠단다. 그런데 이 ... 해 보고 나면 재빨리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지요. 또, 이런 재
난
체험을통해 재
난
이 일어나지 않게 미리 조심하는 마음도 기를 수 있답니다 ... ...
16차원에서 월드컵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그냥 동그란 거 아닌가요?다각형으로 입체도형을 만드는 공식이라니, 정말 멋진걸?
난
섭섭박사님과 함께 오일러의 공식에 걸맞는 축구공을 만들 수 있었어. 박사님~, 우리가 만든 공이 가장 멋져요!“기하학적인 명칭은 ‘깎은 정20면체’란다. 20개의 정삼각형으로 만든 정20면체에서 꼭짓점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