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동안
한차례
잠깐
짧은시간
짬
d라이브러리
"
잠시
"(으)로 총 1,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광 별자리판 만들기
과학동아
l
200009
시간에 따라 두종류로 나뉜다. 빛이 비치는 동안만 발광되는 ‘형광’과 빛이 사라져도
잠시
빛을 내는 ‘인광’으로 구분된다.형광펜처럼 빛을 받을때만 빛나는 것은 형광이고, 불을 끄고도 빛을 내는 야광별과 같은 것은 인광이다.빛의 자극이 없어도 발광하는 것도 있다. 이 경우는 인광도료에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8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만일 구명정에 남겨진 사람이 여성이라면 생리를 할 때
잠시
라도 바닷속에 들어가서는 안된다.피냄새에 민감한 상어가 수백m 떨어진 곳에서 먹잇감인줄 알고 달려올테니까.육지가 가까워짐을 알리는 징후들구조대에게 발견되지 못한 채 계속 떠도는 상황이라면 육지에 ... ...
가능성 보여준 양자 원격이동
과학동아
l
200007
말했지만 당시 그의 주장은 동료 물리학자들에게 제대로 의미가 전달되지 않았다.다시
잠시
공 얘기로 되돌아가자. 두사람이 바구니와 주머니를 나눠 가져 먼 장소로 이동한다고 상상해보자. 예를 들어 학교에서 광돌이가 바구니를, 광순이가 주머니를 갖고 각자의 집으로 갔다고 해보자. 둘은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06
발견할 확률은 상자 안에 골고루 퍼져있다(구슬이 퍼져 있다는 말은 아니다).그리고
잠시
후에는 터널링효과에 의해서 구슬이 상자 밖으로 튀어나온다.따라서 피자를 작은 상자 안에 보관하면 언젠가는 밖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동물원 안에 사자와 같은 맹수를 가두어 놓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한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06
바탕으로 이뤄진다. 우리는 여러 분야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이용해 매일의 생활에서
잠시
도 쉬지 않고 판단하고 사고한다. 그리고 사고나 판단이 조금이라도 잘못될 경우 우리는 큰 경제적 손실을 입거나 몸을 다쳐 때로는 생명을 잃기도 한다. 우리의 사회가 복잡할수록 우리의 판단과 사고 능력은 ... ...
사이버에 중독 되셨습니까?
과학동아
l
200005
늘리기 위해 점점 더 페달 밟기 횟수를 늘려가며(내성), 먹이를 먹는 것도 잊고 페달에서
잠시
도 떨어지지 못한 채 밟기만을 계속하다가(금단) 결국은 지쳐서 사망하기까지 한다. 얼마 전 온라인 게임에 몰두하던 PC게임방 주인이 사망했다는 한 일간지의 기사는, 이 흰쥐 실험을 연상시켜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05
파파층(약 1억년전의 지층)이 노출돼 있는 공터에서 상어 이빨화석을 찾고 있었다.
잠시
후 모리스는 아버지에게 조그만 뼈 하나를 찾아 보여줬다. 아버지는 “그 뼈는 누가 차를 타고 지나가면서 창 밖으로 버린 켄터키 후라이드 치킨의 뼈일 거야” 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은 같은 장소에서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05
규칙에 권태를 느끼고 행동 양식을 약간 바꾼다면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 옥텟 규칙이
잠시
동안이라도 깨어진다면 지금의 모든 물질 세계는 극도의 혼란에 빠지고 말 것이다.일례로 산소가 이중결합을 이루는 대신 단일결합을 이룬다고 해보자. 그러면 주위에서 연소와 같은 산화 반응이 훨씬 빠른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04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남부지방에서 겨울 남쪽 지평선에서 붉은 색의 카노푸스를
잠시
볼 수 있지만, 남반구 하늘에서는 머리 위에서 -0.6등급으로 하얗게 빛나며 시리우스와 밝기를 다투는 강렬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어 남동쪽 하늘로 머리를 돌리면 이 계절의 주인공 남십자성과 ...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
과학동아
l
200004
확인해볼 수 있다. 시장에서 붉은 양배추를 사 가지고 와서 잎을 끊는 물에 집어넣는다.
잠시
후 투명한 물이 자주빛으로 변한다. 이는 양배추잎 세포가 열에 의해 죽게 됨에 따라 세포 내의 화청소가 세포 밖으로 빠져 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은 자주빛 물이 바로 화청소 용액이다. 이 용액에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