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5,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06
- 구의 단면인 원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비로소 정사각형은 구의 존재를 인식하고 2차원보다 높은 차원의 세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정사각형은 새로 알게 된 3차원 세계의 복음을 플랫랜드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려 했지만, 불온한 사상을 전파한다는 이유로 재판에 회부되어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06
-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생각하던 차에, x³+y³=z³과 같이 세제곱 문제는 정수해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라 생각하고 책의 여백에 간단히 써 두었다.그런데 당대의 내로라하는 수학자들 중 그 누구도 이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페르마가 뭔가 착각에 빠져서 글귀를 남겼을 거라고 추측했을 뿐이다.그 뒤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06
- 내각의 합은 항상 180°보다 크고 540°보다 작다. 또 구면 위에서는 합동을 제외한 닮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하! 실험 플러스 뢸로 다각형과 구면 다각형뢸로 삼각형으로 만든 자동차는 울퉁불퉁한 길에서도 잘 달릴 수 있다. 삼각형의 꼭짓점이 움푹 패인 곳으로 들어가면서, 뢸로 삼각형 중심의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05
- 편광의 차이를 포착하면 급팽창 이론이 거의 증명된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중력파의 존재도 간접적으로 밝혀진다.급팽창은 빅뱅 10-32초 뒤에 끝났다. 따라서 만약 이 교란을 포착한다면, 우리는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보다 훨씬 어린 우주를 볼 수 있게 된다. 빛보다 이른 흔적인 셈이다. 아직 ... ...
- [5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05
- 우리나라 국민들은 살인진드기라는 존재를 두려워하고 있다. 그럼 살인진드기는 어떤 존재고 집먼지진드기와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집먼지진드기와 살인진드기는 외형에서부터 다르다. 살인진드기는 둥그스름하면서 길이가 3~4mm로 집먼지진드기보다 10배 이상 크다. 살인진드기는 독은 없으나 ...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305
- 화산 폭발 지역 같이 위험한 지역으로 사람 대신 로봇을 보내 활동하게 하는 거지.원격 존재 로봇 기술현재는 멀리 떨어진 로봇이 거리를 알 수 있는 영상과 소리 정도를 알려 주고 있어. 연구를 하면서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는데, 앞으로 로봇 주변에서 나는 냄새 같이 다양한 환경정보를 모두 알 수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05
- 수 있지만, 초기 우주에서는 산란 정도가 심해 아예 아무 것도 볼 수 없었다. 빛의 입자는 존재했지만, 빛은 없는 이상한 암흑 시대가 이어졌다. 38만 년이 지나서야 드디어 플랑크 관측위성이 관심을 갖는 우주의 ‘지문’이 등장한다.우주의 알에서 빛이 태어나다38만 년 전, 온도가 3000K(약 2727°C) ... ...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05
-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의 관측 결과도 비활성 중성미자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120쪽 참조. 2012년 10월호 ‘암흑물질 3파전’ 참조).하지만 AMS의 관측 결과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있다.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BK부교수는 “초신성이나 강력한 전파원인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05
- 말한다. 현대 대수학의 건설에 지대한 공을 세우고, 대칭 개념으로 물리학적 불변량의 존재를 설명해 물리학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그녀는 바로 에미 뇌터다. 늦게 출발해 꽃피운 재능뇌터의 수학적 재능은 일찍 발현되지 못했다. 실제로 그녀가 이룬 최고의 업적들은 모두 40세 이후에 이룬 것이며,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05
-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양-밀스 이론에서 질량 간극은 상태에 따라 무한 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며 “어떤 질량 간극을 해결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조 교수팀이 쓴 자기홀극 응축으로 답을 찾는 데 성공했다 해도 더 중요한 양자효과에 대한 연구가 아니기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