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세제민
경제
절약
d라이브러리
"
경제활동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팩시밀리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일반 가정에 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는 팩시밀리는 A4용지를 3초 내에 전송할 수 있는 G4급 또는 텔렉스PC와도 송수신이 가능한 MHS로까지 발전하고 있다.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는 H씨는 최근 한 잡지사로부터 공해실태에 관한 원고 청탁을 받았다. 여러 곳을 취재하던 중 얼마전에 공해 관련 한 연구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올바른 과학영재교육을 위해서는 학교는 물론 가정과 사회에서 개방적 분위기가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1989년 11월 20일자 타임지에는 일본의 명문 동경대학이 그 정상의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는 기사가 실렸다. 가장 충격적인 내용은 역대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7명 가운데 ... ...
제6의 영양소 섬유질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섬유질이란 무엇이며 인공합성 섬유질 식품의 허와 실은 무엇일까?섬유질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인공합성 섬유질이 함유된 식품이 많이 나돌고 있다. 음료수 한병, 또는 아이스크림 한개로 감자 여섯개나 귤 열개를 먹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섬유질식품. 과연 섬유질이란 ... ...
과학기술 해외교류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북방외교의 결실로 동구권과 과학기술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를 '과학기술외교 원년'으로 천명한 우리나라의 해외교류 현황을 알아본다. 세계는 첨단기술을 둘러싸고 포성없는 전쟁에 깊이 빠져들고 있다. 90년대 기술주권시대 도래를 암시하는 각종 기술보호주의의 징후들이 두드러지게 나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화학비료와 농약을 뿌리면 섭취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고, 뿌리지 않으면 수확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 모순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각종 농산물에 뿌려지고 있는 농약의 잔류문제가 심상찮게 거론되고 있다. 실제로 이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하지만 일부 무공해식품 판매업자들이 사회여론을 ... ...
로마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금년에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로마는 역사 예술 종교의 도시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는 말이 왜 생겨났을까?유럽의 정원(庭園, il giardino dell'Europa)이라고 자타가 공인하는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퍽 친근한 곳이다. 서양의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언제나 어디서나 자유로이 통화할 수 있는 값싸고 편리한 이동통신장비가 개발되고··· 알다시피 초기의 무선통신은 도전식(導電式)이었다. 이 방식은 양끝을 접지한 전선을 공중에 팽팽하게 설치한 뒤 이 전선에 전류를 흘린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반대편에는 전선을 설치, 전류를 검출했다.그 ... ...
PARTⅠ 16, 64메가 D램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정부는 93년까지 2천여억원의 예산을 투입, 차세대 반도체라 부를수 있는 64메가D램을 개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는데···.손톱만한 크기이면서 한글 1백만자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이 16메가D램. 아직 실용화돼있지 않지만 세계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래의 전략상품이다.이어 등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네갈래 갈림길에 들어선 것이다.우리 사회에 이공계대학을 졸업한 전문가 집단은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10%에 육박한다. 목소리는 낮지만 이미 사회적으로 무시못할 비중을 가진 계층으로 성장한 것이다. 연구실에서 기계나 실험도구와 씨름하거나 산업현당에서 생산기술을 연마하는데 정력을 ... ...
1990년대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20세기의 마지막 10년인 새 10년을 시작할 채비를 하면서 다가오는 10년동안에 과학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해 보는 것은 값있는 일이다.우리가 이것을 확실히 답할 수 없음은 당연하다. 예측을 논리적 합리적으로 하는데도 불구하고 미래의 발전은 우리의 이해를 빠져 나가는 수가 있기 때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