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유
원인
근거
연유
동기
사유
형편
d라이브러리
"
까닭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언어학자와 고고학자, 발생학자와 유전학자들 사이의 시각과 해석이 일치되지 않는
까닭
이다.언어가 인류의 출현과 함께 생성, 발전해 왔음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지만 태초의 인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학자들간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게 현실이다. 고고학 발생학 등 과학분야의 연구가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은 아니라고 한다. 만약 이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좌뇌가 우뇌보다 발달해야 할
까닭
이 없어진다. 따라서 좌뇌의 상대적인 우위가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언어와 손의 '관할권'은 뇌의 양반구중 어느 한곳에 무작위로 주어진다. 쉽게 말해 좌뇌가 언어와 손을 주관할 수도 있고 (이때는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찬물을 온천지대속으로 주입시키는 것이다.그러나 그렇게 하더라도 가뭄으로 물이 귀한
까닭
에 작업가들은 그 지대의 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수도관을 묻어야 될 것으로 보고 있다.물론 다른 온천지대들이 개발될 수도 있겠으나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은 조심스럽게 진행되어야 한다.미국내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절(寒期)에는 물의 증발량이 줄고, 수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사막은 축소된다.이런
까닭
으로 그 주변에 관개사업을 수행하기가 수월해져 농산물과 인구가 증대되고 고도의 문명이 발달하게 되었다. 나일강의 물은 녹지대를 항상 적셔서 파피루스(Papyrus, 왕골 같은 것으로 종이의 원료로 쓰였다.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보호받게 돼 있다.훈제기술이나 치즈 버터제조기술 등이 오래도록 널리 소개되지 않은
까닭
도 서양인의 성격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그에 비해 동양에는 비밀이라는 것이 거의 없다. 넓은 들판에서 서로 사이좋게 농사를 짓고 음식을 나눠 먹었기 때문에 어떤 기술이 개발되면 거리낌없이 ... ...
신소재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전기를 통하지 않는 절연체의 중간적 성질을 띤 물질이다. 도체가 전기를 띠고 있는
까닭
은 자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인데, 반도체는 평상시에는 자유전자가 없으나 온도를 올려주면 자유전자가 발생한다. 보통 원소주기율표에서 가운데에 있는 원소들이 이런 반도체의 성질을 나타낸다. 우리가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레이건대통령 때 아이스크림의 날(Icecream day)이 있었다. 이렇게 특별한 날을 정한
까닭
은 아이스크림을 미국인이 가장 즐겨하고 또 많이 먹으며 미국적인 식품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40여종의 각종 아이스크림이 팔리고 있기 때문에 아이스크림가게에 가서 그냥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이다. 우리가 아직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아직도 우주의 시초에 살고 있는
까닭
이다.그러나 이것이 미래를 향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시간이 흐르면서 우주는 점차 빛으로 기득 찰 것이며 어쩌면 지금으로부터 수조년 후엔 우주의 어느 곳에도 생명이 불가능한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말한데 지나지 않는다. 천재가 남긴 숙제그런데 이야기는 이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
까닭
은 오늘날의 우주에서 Λ, 즉 진공의 에너지밀도가 엄청나게 작다는데 있다. 최근에 행한 은하들의 관측을 통해 알려진 에너지밀도는(물질밀도×${C}^{2}$, C는 광속도)는 ${10}^{-29}$g/㎤ 이하다. 따라서 진공의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로는 산성비 보다 산성눈이 환경에 미치는 피해가 더 크다. 그
까닭
은 무엇일까?① 추운 겨울은 식물의 대사가 활발하지 못할 때이므로② 눈이 오랫동안 지표에 남아 녹아 없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③ 이산화황 농축효과가 비보다 눈에서 더 크기 때문에④ 눈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