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달을 탐사하는 탐사선을 싣고 거대한 굉음을 내뿜으며 파란 창공 위로 올라가는 날을.
발사
성공 여부와 관계없는 나로호의 진정한 꿈은 바로 여기에 있다. 나로호는 정확히 달을 겨냥하고 있다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로봇은 적외선 광원을 인식하는 센서를 달고 있다. 로봇의 센서는 도킹 스테이션이
발사
하는 적외선 광원을 인식한다. 보통 900~1000나노미터(nm) 파장의 적외선에 반응한다. 이 센서는 가시광선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다가 특정 파장을 지닌 적외선을 인식하면 신호를 출력하기 시작한다. ... ...
TV도 자동차도 늘씬날씬~, 뚱뚱이의 다이어트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과학자들은 어항처럼 생긴 소형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 로켓과
발사
하는 원리는 같지만 사람이 타는 부분은 둥근 원으로 되어 있어, 우주 전체를 한꺼 번에 감상할 수 있을 예정이다. ➍➎ 페달 밟아 바닷속 모험 떠나는 ‘잠수함 자전거’프랑스의 모험가 스테판 루송은 자전거처럼 페달을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없는 밤하늘에서 갑자기 푸른색 번개가 일직선으로 내리꽂혔다. 아군 건쉽이 공중에서
발사
한 라이트닝 볼트였다. 번개는 단 한 번으로 그치지 않고 연이어 적의 스텔스 탱크들을 타격했다. 디젤엔진 대신 전기모터, 재래식 포 대신 레일건(전자기포)으로 무장한 최신식 스텔스 탱크는 번개 같은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시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이미 올해 민간 기업에 의한 인공위성
발사
가 이뤄졌다. 게다가 지구 저궤도까지 비행체를 타고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우주관광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물론 우주개발 자체에만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우주개발 말고도 기본적인 ... ...
Bridge. 비살상무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발생장치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해 약 100kW(킬로와트) 출력의 95GHz 초단파를
발사
한다.
발사
된 초단파의 에너지는 피부 표피층에 흡수돼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이 에너지는 통각 신경세포를 자극한다. 따라서 실제 물리적 부상 없이도 54℃ 화상 수준의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고는 물론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강조했다.
발사
운영을 통해
발사
체 이송·조립·지상지원설비 운용기술·관제 기술·
발사
체 임무운용 기술·
발사
결과분석기술 등 핵심 기술을 다수 확보했다는 얘기다.한국형
발사
체 사업은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독자 우주
발사
체 개발이 목표다.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운반자로 이용하는 것이죠. 유전자총은 DNA를 아주 작은 금속에 붙인 뒤 세포에
발사
해 넣습니다. 정말 총 같죠?우리가 먹는 식품에도 DNA가 당연히 들어있습니다. 먹은 DNA는 소화기관에서 모두 소화하고요. DNA가 몸에 쌓이는 것은 아닙니다. 이범규 생명안전성과 농업연구사님과 함께 DNA칵테일도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감격적이었는지 수 없이 전해줬다. 특히 쌍둥이 둘이 다 어려움을 겪은 후의 성공적
발사
란 이루 말할 수없는 감격이었다. 갈렉스는 계획된 2년 6개월의 임무기간을 훨씬 뛰어넘는 지금까지 9년에 걸쳐 궤도를 지키고 있으며 그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 어떤 사람은 셋 중 하나만 성공했다고 말한다.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선형가속기 길이도 165m에 이른다.가속한 입자빔을 목표물까지
발사
하는 과정도 문제다. 전하를 띤 입자빔은 대기를 지나는 과정에서 지구 자기장에 의해 궤도가 바뀔 수 있고, 전기적 특성 때문에 번개처럼 예측불가능한 방향으로 흩어질 수 있다. 중성자 빔은 전기적으로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