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d라이브러리
"
벌레
"(으)로 총 8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다를 뿐이었다.또한 지금까지 따로 떼어 생각했던 인간의 통제 유전자도 기어다니는
벌레
나 파리 또는 쥐의 유사 유전자와 상당히 비슷하다. 그 유기체가 대략 10조(兆)의 세포로 이루어지는 호모 사피엔스의 키를 잡고 있는 유전인자 가운데 단지 DNA단계의 대략 10%만이 다른 것들과 다르게 배열되어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흔히 볼 수 있었던 반딧불이가 사라졌고, 커다란 풍뎅이라 할 사슴
벌레
며, 금빛나는 비단
벌레
도 요즘은 볼 수 없어요. 잠자리도 그 종류가 현저히 줄어들었고요. 옛날엔 여름방학숙제로 곤충채집이 단골메뉴였지 않습니까. 그때 학생들 중에는 직접 채집하지 않고 가게에서 사다가 숙제로 제출할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일그러지거나 녹이 슨 상태로 나와 제모습조차 뚜렷치 못한 상태다. 심한 경우는
벌레
가 먹고 부식돼 거의 원형을 상실한 채 발굴이 된다. 이런 유물들은 과학적인 장비와 기술을 이용한 보존처리과정을 거쳐 거의 완벽하게 제모습을 찾은 후 비로소 문화재로 일반에게 선보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꿈을 꿀 필요성이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양서류인 개구리는 눈 앞에서 날아다니는 작은
벌레
를 잡아먹고 사는데 죽어서 '움직이지 않는' 파리를 눈 앞에 갖다주었을 경우 아무리 배가 고파도 먹지 않는다. 개구리의 단순한 프로그램에서는 '움직이지 않는' 것은 먹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 ...
나비의 멋과 신비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되지 못한채 죽고 그 번데기에서는 배추
벌레
사리좀벌이 탈출(脫出)되는 것이다. 배추
벌레
는 몸의 색깔이 녹색이어서 야생십자화과식물이나 재배십자화과식물에서 성장하고 있을때 잘 보이지 않는다. 생활하고 있는 식물과 색깔이 같아 자기몸을 보호하고 적을 피할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 ...
성공단계의 무공해 살충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화학농약과 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배추흰나비 바이러스는 배추
벌레
외의 곤충에는 해가 없어서 이로운 천적을 보호해 준다. 살충미생물 제품이 과수와 밭작물에는 매우 유효하지만 물에서 크는 벼 등의 작물에는 별 효과가 없다. 벼의 잎이 좁고 미생물 살충제를 뿌려도 ...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번식하고있다. 사람들은 그 고기를 잡아 귀중한 단백질원으로 삼고 있다.디스토마
벌레
가 고기들 몸에 기생했다가 사람에게 옮겨 와서 무서운 병을 일으키기는 하지만 그 고기를 끓여서 먹는 한 별탈이 없으며 그 맛으로 보나 영양가로 보나 아주 귀중한 영양원임에는 틀림없다.어찌 낙동강 ... ...
곤충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뒷다리를 마찰시켜 노래하는 귀뚜라미 방울
벌레
여치 베짱이 등의 메뚜기류에 속하는
벌레
는 전세계에는 2만5백종이나 알려졌고 우리나라에서는 1백20여종이 알려졌다. 벌류로서는 우선 꿀벌류를 들 수 있다. 꿀벌 꽃벌 뒤영벌 등은 이 꽃에서 저 꽃으로 옮기며 화분을 매개하여 자연에서 꽃피는 ... ...
적은영양가에 많은 농약 온실재배채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생기는데 하물며 비닐 하우스라는 무더운 온실 안에서 가꾸다 보니 툭하면 병이 생긴다.
벌레
의 경우는 마침 겨울철이고 문이 닫혀 있어 별 걱정이 없지만 병해는 매우 극성스럽게 발생한다.그래서 비닐 하우스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는 잦으면 사흘에 한번, 적게도 일주일에 한번은 꼭 약을 뿌려야 ... ...
공해마을 온산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공장에서 내뿜는 연기 속의 흰가루가 온마을을 뒤덮는다. 이것이 채소에 묻으면
벌레
에 뜯긴 것처럼 구멍이 나고 심지어 비닐하우스 속의 채소까지 죽어버린다. 동네 주민들은 구토와 가려움증에 시달리는데 열흘에 3일 정도는 이같은 해를 입는다"고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는 온산국민학교의 ... ...
이전
81
82
83
84
8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