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보존과학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울음은 트롬본 소리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공룡의 울음소리는 아직까지 풀지 못하고 있는 최대의 미스터리다. 그런데 최근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와 뉴멕시코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과학자들이 화석과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그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다.1995년 8월 7천5백만년 전에 살았던 파라사우롤로포스의 화석이 공룡화석 사냥꾼 ... ...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옛말 하나도 틀린 게 없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선조들의 생활 속 지혜를 깨닫는 현대인들의 감탄사다. 근래 들어 옛말의 과학적 가치가 밝혀지면서 전통과학의 진가가 인정받게 돼 매우 다행스럽다.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숯이다. 숯이라고 하면 흔히 고기를 구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에너지는 보존되지만 절약해야 한다. 왜냐하면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에너지 보존과 절약의 이율배반을 과학적으로 조명해 본다.쓸모없는 에너지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 양인가?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원 중에 석유는 45년, 천연가스는 65년 정도밖에 사용 ... ...
2. 우주생활 24시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무중력 공간에서 활동하는 우주비행사들의 활동은 매우 제한된다. 게다가 하루에 지구를 10여차례씩 돌기 때문에 낮과 밤도 지구와는 다르다.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들의 보금자리는 어떻게 꾸며져 있을까.오랜 기간 중력에 견디며 직립보행을 해온 인간이 무중력상태인 우주공간에서 생활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올해는 현대적 SF의 창시자로 일컫어지는 웰스가 소설 '투명인간'을 발표한지 꼭1백년되는 해다. 다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인간은 신의 선물인가, 악마의 저주인가.‘하늘을 날아봤으면’, ‘저기 보이는 별에 가봤으면’, ‘만화영화의 주인공이 돼 로봇을 조종해봤으면’…. 누구나 한번 ... ...
3. 점쟁이 예언을 상대론으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학생들은 지식을 암기하거나 문제를 푸는 기계가 아니다. 이제 학생들을 재미있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또 측면사고를 통해 사고력과 창의성을 높여주어야 한다. 대화식 교육을 통해 측면사고를 돕는 강의의 한 예를 살펴본다. 일반물리학은 비단 물리를 전공하는 학생뿐 아니라 이공계 모든 분야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나는 신이 어떻게 이 세계를 창조했는지 알고 싶다. 신의 생각을 알고 싶은 것이다. 나머지는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발표해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으면서도 웬지 성에 차지 않았다. 그가 진정 꿈꾸는 것은 만물의 법칙인 통일장이론(unified field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사람들이 놀이 동산을 찾는 이유는 다양한 놀이기구에서 ‘안전한 위험’을 즐기기 위해서다. 하루에도 수백번씩 출발하는 청룡열차는 한치의 오차도 없이 교묘하게 꼬인 레일 위를 따라 안전하게 플랫폼으로 돌아온다. 그것은 아이들이 멋대로 꼬아 놓은 것처럼 보이는 레일이 사실은 뉴턴이 발 ... ...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스파르타 구한 최초의 암호문 나무봉에 감춰진 종이 테이프의 비밀남들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비밀스런 메시지를 누군가에게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문장의 글자 순서를 바꾸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지금 상사가 화났음”이란 문장을 암호문으로 바꿔 다른 동 ... ...
2. 뉴턴의 운동 법칙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한편의 영화가 제작되기까지는 다양하고 많은 작업들이 모여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그림이 한권의 만화가 되기까지 필요한 과정은 한권의 만화가 한편의 영화가 되기까지 필요한 과정과 별로 다를바 없을 것이다.원래 영화를 탄생시킨 사람은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다. 과학자의 세심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