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를 해결했다.켈러 교수는 “초박형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세포
를 촬영하기 때문에
세포
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31신용수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연속적으로 항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doi:10.1038/256495a0다만 여기에는 동물 B
세포
를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는 인간 항체와는 서열이 달라 거부반응인 면역원성(immunogenicity)이 발생한다. 당시 밀스테인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를 진행하던 윈터 연구원은 이를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항암 치료를 통해 이들
세포
를 죽이는 겁니다. 또한 줄기
세포
들이 분화하지 않고 줄기
세포
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
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줄기
세포
의 주변
세포
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현재 은퇴)은 1970년 우연히 작은 입자를 빛으로 포획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레이저로
세포
와 바이러스 포획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따기’였다. 이론적으로 계산은 할 수 있었지만 실험으로 힘의 크기를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입자가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식을 사용해야 대량생산과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근육
세포
는 목표량과 배지 조성 방법 등에서 일반 미생물 배양과 다르기 때문에 가장 최적화된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정 책임연구원은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 ...
2018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시작으로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생리의학상은 우리 몸 속 면역
세포
의 암 치료 능력을 높인 차세대 항암제를 개발한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만든 과학자 3명에게, 화학상은 효소와 항체 생산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과학자 3명에게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과학자들을 응원한다. 임승외미국 퍼듀대 약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암
세포
의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직접 맞서 싸우거나,
세포
단백질의 모양을 바꿔 감염을 피한다. 흥미롭게도 이번에 밝혀낸 유전자는 현대 유럽인에게만 존재한다. 네안데르탈인과 고대 아시아계 인류 사이에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가 전달됐을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31쌍이다. 따라서 그 자손인 노새의 염색체는 63개로 홀수가 되고, 감수분열에 의한 생식
세포
생산이 불가능하다. 노새를 쓰지 않는 요즘에는 동물원에서 이종교배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호랑이와 사자 사이에서 나온 ‘라이거(liger)’나 ‘타이온(tion)’이 대표적이다. 라이거는 수사자와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한 종류로, 파장이 약 473nm(나노미터)인 푸른빛을 쪼이면 채널이 열리면서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고 뉴런이 전기적으로 활성화된다. 만약 이 뉴런에 기억이 저장돼 있다면 빛을 쪼이는 것만으로도 기억이 떠오를 것이다. 이런 식으로 연구팀은 특정 기억에 대한 일종의 꼬리표를 뉴런에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